소비자의 시선을 끄는 새로운 가전제품들이 홍수처럼 쏟아지는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다. 가사노동 해방을 기치로 내건 가전제품 홍보도 무수히 많다. 세탁기, 청소기, 식기세척기와 스탠드형 스팀다리미 등은 대표적으로 가사노동을 수월하게 하는 제품들이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은 이런 가전제품들이 여성들의 가사노동을 획기적으로 줄였다고 여긴다. 과연 가사노동을 수월하게 해주는 가전제품의 등장이 여성의 가사노동을 감소시켜 줬을까 오늘은 이점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 한다.

대답은 “아니다”이다. 미국의 역사학자인 루스 코완(Ruth Schwartz Cowan)이 이에 관해 문제를 제기하였고, More Work for Mother(과학기술과 가사노동, 1985)라는 저서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녀는 가전제품 덕분에 가사노동은 훨씬 더 수월하게 할 수 있었지만 정작 여성의 가사노동은 줄지 않고 오히려 늘었다고 주장했다. 20세기 초 중반에 미국의 각 가정에 세탁기나 진공청소기 같은 가전제품이 도입되면서 가사노동이 어떻게 변했는지를 조사한 결과, 상식과는 정반대의 결론에 도달한 것이다.

그녀는 그 이유로 두 가지의 주요 원인을 들었다. 첫 번째는 세탁기가 도입되기 전에는 부피가 크고 무거운 빨랫감은 여성의 몫이 아니라 집안의 남자들의 몫이었으나, 세탁기의 등장으로 인해 세탁은 온전히 여성의 몫으로 바뀌게 되었기 때문이다. 두 번째 이유는 세탁기의 등장으로 청결 기준이 훨씬 높아졌기 때문이다.

예전 같으면 두세 번 입어도 크게 문제가 되지 않았을 얼룩이 세탁기의 등장으로 세탁의 대상이 된 것이다. 또한, 일상적인 의류들도 두세 번 입고 세탁하던 것에서 한 번 입고 세탁하는 것으로 일상생활의 방식이 점차 변화하게 된 것이다. 결국 가전제품의 등장은 가사노동을 수월하게 만든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으로 인해 우리의 일상생활도 따라 변화하면서 가사노동의 빈도수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 것이다.

이처럼 현대사회의 기술혁신 및 주방가전제품의 출현에도 불구하고 1920년대의 주부와 비교하여 현대 여성의 가사노동 시간은 크게 감소하지 않았다. 세탁기의 등장으로 한 번에 빨래하는 가사노동의 시간은 줄었지만 과거보다 한 가구 당 소유하고 있는 의류나 침구의 수가 증가하고 청결의식이 높아져 세탁을 보다 자주 하게 됨으로써 결국 세탁에 소요되는 시간은 증가하게 된 것이다.

또 다른 예를 들어보자. 자동차의 안전띠 의무화는 과연 얼마나 안전을 향상시켰을까 보다 많은 운전자와 승객이 안전띠를 착용함에 따라 교통사고에서 치명상을 당할 확률은 크게 낮아졌다. 안전띠는 사고를 당했을 때 부상이나 사망의 가능성을 낮추기 때문이다. 그 결과 운전자들은 전에 보다 조심스럽게 운전하지 않을 확률이 증가하게 되고, 보행자들은 자동차 사고를 당할 확률이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시카고 대학의 경제학자 샘 펠츠만(Sam Peltzman)은 1975년에 발표한 논문을 통해 실제로 이러한 현상이 미국에서 발생했음을 통계적으로 증명했다. 펠츠만의 결론에 따르면 안전띠 의무화를 통해 사고당 사망률은 감소했지만, 사고 건수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운전자의 사망률 거의 변화가 없고, 보행자의 사망률이 높아진 것이다. 이러한 현상을 펠츠만 효과(Peltzman effect)라고 한다. 이러한 논리에 따르면, 충돌방지장치, 에어백, 잠김방지제동장치(ABS) 등의 안전장치 개발로 오히려 자동차 사고 및 사망자 수는 더 늘어나게 된다. 자동차의 안전성이 높아지면 이를 믿고 운전자가 더 난폭하게 운전하게 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어떤 것의 결과를 예측할 때 다른 요인들은 변화하지 않는다고 가정할 때가 많다. 하지만, 인간은 합리적이기 때문에 주요한 요인의 변화는 다른 요인들을 자연스럽게 변화하게 만든다. 따라서 새로운 제품개발이나 안전규제가 인간의 합리성에 의해 본래의 의도와 다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이해한다면, 신제품 개발이나 정책당국자의 정책구상이 좀 더 종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한양사이버대학교 실버산업학과 교수>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