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소비자뉴스=강은희 기자] 평소 음식을 달게 먹는 습관이 비만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우리나라 성인을 대상으로 설탕·쨈류 등 첨가당을 섭취하는 정도와 대사증후군과의 관련성을 추적 조사한 결과, 달게 먹는 식습관을 가진 남성이 여성보다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대사증후군이란 비만, 고혈압, 당대사장애, 고중성지방혈증, 저HDL콜레스테롤혈증 등 5가지 요소 중 3가지 이상 해당하는 경우로 당뇨병, 심혈관질환 등 만성질환 발생 위험이 높은 상태를 말한다.

이번 조사는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에서 건강검진을 실시한 우리나라 성인 1만6992명(남자 9831명, 여자 7161명)을 대상으로 6년에서 12년간 추적조사한 결과다. 

그동안 우리나라 국민을 대상으로 총 당류에 대한 연구가 이뤄진 적은 있지만 첨가당에 대한 연구는 드문데다 장기간추적조사인 코호트연구가 수행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첨가당은 식품제조 또는 조리 시 첨가되는 당으로 설탕, 꿀, 물엿, 시럽 등을 말하며, 식품 자체에 존재하는 유당, 과당 및 감미료는 제외한다.

이번 연구결과의 주 내용은 ▲우리나라 성인들의 첨가당 섭취량 증가 ▲남성이 여성에 비해 더 달게 먹는 식습관 ▲남성이 여성보다 첨가당과 대사증후군간의 더 높은 상관관계 등이다. 

조사 대상자의 하루 평균 첨가당 섭취량은 1998년 13.1g에서 2008년 17.8g으로 36% 증가했고, 남성은 17.6g, 여성은 11.8g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더 많은 첨가당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자 중 대사증후군이 발생한 사람은 1896명으로 전체의 13.7%를 차지했으며, 이를 우리나라 인구 1000명당 1년간 발생 수로 환산하면 남성 39.1명, 여성 26.9명에 해당된다. 

특히 남성의 경우 첨가당을 적게 섭취하는 그룹(8g/day이하)보다 높은 그룹(22g/day이상)에서 대사증후군의 요인 중 비만 위험은 28%, 고중성지방혈증 위험은 22%, 저HDL콜레스테롤혈증 위험은 35%가량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여성의 경우에는 첨가당 섭취량 정도와 대사증후군 발생 과의 의미있는 관련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여성호르몬이 LDL콜레스테롤을 낮추고 HDL콜레스테롤을 늘리는 역할을 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식약청은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총 열량과 상관없이 첨가당 섭취가 많아질수록 비만위험도가 높아져 만성질환 발생 위험도 커지는 만큼 식품 조리 시 설탕, 시럽 등 첨가당을 적게 넣고 식품 구매 시 식품표시사항을 꼼꼼히 확인하여 덜 달게 먹는 습관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우리나라 평균 총 당류 섭취량은 2007년 조사결과 하루 평균 48g으로 WHO에서 목표로 하는 1일 50g(2000kcal 기준, 총 섭취열량 중 10%에 해당)과 유사한 수준이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