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소비자뉴스=강은희 기자] 국내의 신약개발은 주로 기술수출을 통한 글로벌 신약개발이 일반적인 형태로, 최근 제품개발과 수출을 위한 움직임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와 증권가에 따르면 한국의 제약시장은 협소하기 때문에 유망한 신약후보물질의 경우 해외 임상도 병행하는 경우가 많고, 최근까지의 임상동향을 보면 임상 2상까지는 국내 제약사가 자체적으로 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대규모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해외 임상 3상은 비용이 많이 들어(최소 100억원 이상 소요) 다국적제약사에 기술 수출하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수출은 아직까지 한국 제약사의 외형과 자금력에서 한계가 있어 적절한 전략으로 평가받고 있다.

신약은 개발한다는 것 자체가 의미있는 일이면서도 제품이나 기술이 해외수출 된다는 것은 그만큼 상업적으로도 성공하기 위한 노력이라는 것이다.

국내 한 중견제약사의 관계자는 "같은 이유로 될성싶은 제품의 라이센스 아웃을 통해 런닝로열티를 챙기는 것이 훨씬 편하고 안전한 방법이기 때문에 선호하는 것 같다"며 "마찬가지로 바이오 신약의 경우에도 통상적으로 임상 2상까지 진행해서 어느 정도 유효성과 안전성을 확보하고 3상 이후는 프로젝트 자체를 해외사에 파는 전략을 쓰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해외 임상은 다국적 제약사의 이해관계에 따라 변동성이 심하고 부침이 심하다는 지적도 있다.

지금까지 기술수출된 이후 신약허가까지 성공한 경우는 LG생명과학의 팩티브를 제외하곤 거의 없으며, 팩티브도 상업성 측면에서는 기대만큼 큰 빛을 못보고 있다는 게 업계와 증권가의 평가다.

업계 한 관계자는 "이는 신약이 개발된 이후 상업적 성공을 얻기까지 얼마나 어려운 지를 보여주는 것"이라며 "현재까지 개발된 국내 제약회사의 신약은 글로벌 파급력이 아직까지는 약하기 때문"이라는 견해를 나타냈다.

국내 제약사들이 신약개발에 성공하더라도 마케팅을 할 경우 대부분 해외 마케팅 네트워크가 없기 때문에 다국적 제약사나 해외 제약사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이와 관련, 업계 관계자는 "사업을 예측할 수 있는 가능성도 떨어지고 매우 독창적이고 차별화된 신약을 개발하지 않는 이상 해외에서 상업성까지 성공하기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