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소비자뉴스=편집국]보건복지부가 지난 4일 마감한 혁신형 제약사 접수 결과 모두 70여개 제약사가 신청했다고 한다.

상장제약사 52개사중에서는 처음 예상보다 저조한 23개사가 응했고 비상장회사가 50여사에 달했다.

복지부는 이들 제약사를 대상으로 50여 제약사를 선정, 빠르면 이달말 까지 혁신형제약사 인증을 마친다는 계획이다.

복지부가 구상한 혁신형제약사 인증사업의 궁극적인 목표는 연구개발실적과 미래비전을 중심으로 성장가능한 업체를 선정, 지원함으로써 세계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글로벌제약사로 육성하는 것이다.

사실 반도체 전자 자동차 선박 등 대부분 국내 산업분야가 경쟁력을 갖추고 세계시장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는 것에 비하면 그동안 제네릭에 의존해서 살아온 제약사의 국내외 위상은 부끄럽기 짝이 없는 실정이었다.

따라서 복지부의 이런 계획은 FTA의 보완책으로 뒤늦게 마련되기는 했으나 올바른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다른 산업이 허허벌판에서 맨손으로 시작, 오늘의 초일류 기업으로 성장했듯 국내 제약업계도 산관연이 손잡고 나선다면 세계적인 다국적 제약사들에 버금하는 수준으로 끌어 올리는 것이 불가능한 일만은 아니라고 본다.

동아제약ㆍ 녹십자ㆍ종근당ㆍ 한미약품ㆍ JW중외제약 등과 같은 제약사들이 이미 세계시장에 선보일 신약개발 성공을 눈앞에 두고 있다는 사실이 이를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문제는 혁신형제약사 선정 이후 이들 기업에 대해 얼마나 지속적인 지원이 이뤄지느냐에 있다고 본다. 신약개발이 7~10년이라는 장기투자 사업이라는 특성 때문에 자금회수기간이 길기 때문이다.

혁신형제약사 인증 이후 정부가 R&D 자금과 약가우대, 세제등 지원책을 강구하겠다고 했으나 이것이 일시적인 반짝 지원에 그친다면 소리만 요란한 빈수레 정책이라는 비판을 면하기 어려울 것이다.

정부가 혁신형제약사 인증기업에 대해 상징성을 부여, 기업홍보용 대중광고와 제품포장등에 ‘혁신형제약사’라는 명칭을 사용토록 허용하는데 그쳐서는 안된다는 이야기다.

혁신형제약사로 선정된 기업들도 정부의 지원책에만 기대서는 안된다. 다른 모든 산업분야가 그렇듯 기업 오너의 불길같은 개척자적 정신이 없으면 글로벌 제약사의 탄생은 불가능한 일이다.

정부정책에 대한 냉소적 태도도 버려야 한다. 제약계 일각에서는 혁신형제약사 인증사업을 두고 한·미 및 한·EU FTA 실시에 따른 정부의 일시적 보완책이라는 의문을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부정적 분위기가 만연한다면 글로벌 제약사 탄생은 기대할 수 없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