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물용출스텐트(DES)가 일반금속스텐트(BMS)보다 스텐트 혈전(피떡) 발생률을 최대 68%까지 낮춘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심장수술에 사용되는 스텐트의 안전성을 비교한 세계 최대 규모 연구로 주목되고 있다.

서울대병원(병원장 오병희) 내과 김효수<사진> 교수팀(박경우 교수ㆍ강시혁 전문의)은 2002~2013년 진행된 전세계 113개 임상을 바탕으로 8개 주요 스텐트를 사용한 환자 9만584명의 임상 경과를 메타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0일 밝혔다.

김 교수팀은 BMS와 DES, 생체분해성 폴리머 약물용출스텐트(BP-BES)를 삽입한 후 1년 내 스텐트 혈전 발생 위험률을 비교했다.

그 결과, DES는 BMS보다 안전성이 높았는데, BP-BES와 DES의 일종인 '코발트 크롬 에버롤리무스 약물 용출 스텐트(CoCr-EES)'는 BMS보다 스텐트 혈전 발생률이 각각 44%와 68% 낮은 것으로 입증됐다.

이같은 결과는 스텐트의 안전성에 폴리머의 특성이나 분해 여부뿐 아니라 금속과 약물, 폴리머의 3대 인자 조합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BMS는 1994년에 개발된 최초의 스텐트로, 금속 철망으로 만들어졌다. BMS 이식 후 넓혀진 혈관이 다시 좁아지는 현상이 있었는데, 이를 예방하기 위해 금속 철망에 특수 약물을 바른 것이 DES와 BP-BES다. 이 스텐트들은 BMS의 업그레이드 모델이다.

DES의 경우 약을 혈관에 안정적으로 보내는 ‘폴리머’라는 성분이 있다. 이것이 염증이나 후기 스텐트 혈전을 유발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폴리머가 생체 내에서 자연 분해되는 스텐트가 개발됐다. 이것이 BP-BES로, 진료 현장에서는 BP-BES가 안전성이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돼 왔다.

그러나 이번 연구 결과에서 최근에 개발된 일부 DES가 BP-BES에 비해 안전성이 높았으며, CoCr-EES는 BP-BES에 비해 1년 내 스텐트 혈전 발생률이 42% 낮았다.

김효수 교수는 "여러 스텐트가 진료 현장에 사용되면서 각각의 스텐트를 비교하는 연구들이 진행된 바 있지만, 스텐트 종류와 비교연구가 많아지면서 개별 스텐트들의 성적을 한 눈에 비교하기는 어려웠다"며 "이번 연구는 순환기내과 (심혈관 내과) 전문의들에게 진료 현장에서 어떤 심장관동맥스텐트를 선택해야 하는지에 대한 현실적인 해답을 제공했다는 데 가치가 있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팀은 진료 현장의 질문에 답을 구하기 위해 지금까지 이뤄진 모든 임상연구를 총망라해 한 번에 분석하는 네트워크 메타분석을 시행했다.

메타분석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주제로 실시된 연구논문을 종합해 분석하는 연구법으로, 이번 연구 결과는 '유럽심장학회지' 1월호에 게재됐다. 

스텐트 혈전증은 심장관동맥스텐트를 삽입한 후 스텐트 안에 혈전이 생기면서 혈관이 다시 막히는 심각한 합병증이다. 한 번 발생하면 사망이나 심근경색 등 위험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어 이를 예방하는 게 임상 현장의 중요한 과제였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