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가 지난주 1차 당류(糖類) 저감5개년 종합계획을 발표한 것은 만병의 근원인 비만과의 전쟁을 선포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설탕이 나트륨과 함께 비만 등 성인병 유발의 주범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나트륨 억제책에 비해 뒤늦은 감이 없지 않다.

설탕은 나트륨과 함께 우리 식문화에서 거의 빠지지 않는 단맛을 내는 탄수화물이다. 콜라 사이다 주스 등 음료수는 물론 짜장면 과자류 빵류 시리얼 드레싱 소스류등 음식에 들어가지 않는 곳이 거의 없을 정도다. 문제는 이러한 설탕을 과잉 섭취할 경우 나트륨처럼 비만과 각종 성인병을 유발한다는 점이다. 저혈당 칼슘결핍 지방간 위장병 단백질 흡수 방해 등 만병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 중에서도 비만 고혈압 당뇨 등 성인병은 가장 높은 발병률을 보이는 질환들이다. 200ml짜리 콜라 2캔을 마시면 각설탕 16개를 먹는 것과 같고 이 경우 비만 39%, 고혈압 66%, 당뇨는 41%나 발병률이 높아진다는 것이 식약처의 경고다. 나트륨을 기준치에 맞게 적게 먹는다고 해도 당류를 이처럼 과잉 섭취하면 소용없다는 것이다.

이에 따른 사회적 해악도 천문학적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비만에 따른 사회ㆍ경제적 비용만 지난 2013년 기준으로 무려 6조8000억원에 이른다. 설탕 과잉 섭취로 건강도 망치고 경제적 피해도 보는 셈이다.

문제는 설탕의 단맛을 쉽게 끊을 수 없다는 데 있다. 단맛의 중독성 때문이다. 당은 사람의 뇌를 자극해 행복감을 느끼게 하는 호르몬을 분비케 한다. 초콜릿을 먹은 뒤 심리적 안정감을 느끼는 것은 이 때문이다. 따라서 설탕과의 전쟁은 장기적일 수밖에 없다.

영국은 이러한 폐해를 막고 설탕 소비를 줄이기 위해 설탕세를 신설해 2018년부터 시행키로 했다. 멕시코는 이미 설탕세 부과를 시행함으로써 2014년 시행 첫해 설탕 소비를 연간 6% 줄였다고 전해진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설탕세 신설에 대한 논란이 불거지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반대 여론이 만만치 않다. 담뱃세처럼 국민건강 보호라는 약점을 잡아 정부가 세금을 더 걷는 수단으로 악용하려는 저의가 엿보인다는 주장이다.

사실 이러한 반대론은 상당히 일리가 있다. 현재 나트륨의 소비가 과거에 비해 많이 줄었으나 소금세를 부과해 소비가 감소한 것은 아니다. 정부 당국과 의료계가 나트륨의 건강에 대한 해악을 꾸준히 홍보해온 덕분인 것이다. 따라서 이번 설탕과의 전쟁도 설탕 과잉 섭취에 따른 해악을 지속적으로 홍보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고 본다. 이러한 점에서 당국이 올해부터 우선 음료수 과자류 등 100개 식품에 대해 당류의 1일 섭취량 기준치 대비 당 함유량을 표기토록 의무화한 것은 아주 잘한 일이다.

세계보건기구(WHO)가 권장하는 하루 당 섭취량은 1일 섭취 열량의 5%다. 이에 비해 국내 성인의 하루 평균 당 섭취량은 1일 섭취 열량의 12~13%로 두 배가 훨씬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국과 의료계의 협력이 절실하다. 그러나 이보다는 소비자들의 설탕류에 대한 인식 전환이 더 시급하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