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익산시 원광대병원에 응급의료전용헬기(Air Ambulanceㆍ일명 닥터헬기)가 도입돼 지난주부터 운항되기 시작했다.

이로써 정부가 처음 닥터헬기를 도입해 운항하기 시작한 2011년 이래 5년 만에 응급의료전용 헬기 대수는 인천(가천대길병원), 전남(목포한국병원), 강원(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경북(안동병원), 충남(단국대병원)에 이어 모두 6곳 6대로 늘어났다.

의료시설이 없는 산간오지나 섬지방의 응급환자에 대한 신속한 이송 수단은 의료선ㆍ후진국을 가름하는 척도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오지와 섬지방 주민들이 도시민에 비해 의료혜택에서 차별받는다면 이는 인간의 기본 권리를 외면당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지난 5년동안 응급헬기 역할은 이들 지역의 의료 수준을 선진 수준으로 한 단계 끌어 올린 쾌거라 해도 지나친 말은 아닐 것이다.

덕터헬기가 처음 운항되기 시작한 2011년 9월부터 지난 4월4일까지 닥터헬기 5대가 오지ㆍ낙도에서 담당 의료기관으로 신속 이송해 치료를 한 응급환자 수는 모두 3000명에 이른다. 호흡곤란으로 사경을 헤매던 생후 1개월의 신생아에서부터 갑작스럽게 가슴통증ㆍ쇼크 등으로 의식불명에 빠진 50~80대 주민에 이르기 까지 응급환자는 하루도 빠지지 않고 발생했다. 닥터헬기가 없었더라면 제대로 손도 쓰지 못하고 희생될 뻔했던 환자들이었다.

구급차를 이용할 경우 이송 시간이 148분 걸리는 것이 닥터헬기 이용 시 평균 23분 밖에 걸리지 않았고 덕분에 중증외상환자의 완쾌율이 구급차(38.9%)보다 훨씬 높은 56.7%로 올랐다. 닥터헬기의 신속한 응급처치와 이송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그러나 닥터헬기의 운항은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는 사업이다. 헬기 1대 도입에 100억원의 예산이 소요된다.

또 한 대 운항에 필요한 연간 운영비가 30억원에 이른다. 닥터헬기 1대에 의사 간호사 등 전문인력 3~5명이 투입되고 242점의 첨단의료장비를 갖춰야 한다. 그뿐 아니다. 해당 병원에 헬기 계류장이 있어야 하고 항공법에 따른 헬기 이ㆍ착륙장과 격납고, 중증외상센터, 부속 안전시설 등도 마련해야 한다.

일찍이 닥터헬기를 운영한 미국에서는 헬기운항을 민간회사가 담당하고 그 비용도 환자가 부담하는 탓으로 안전사고가 빈발하기도 했다. 지난 1998~2008년까지 10년간 136건의 닥터헬기 추락사고 등이 발생해 117명이 사망했다고 한다. 민간헬기 회사들끼리 환자 유치 경쟁이 치열하고 채산성이 악화되자 안전성 확보를 게을리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한국의 경우 이러한 닥터헬기 운항을 정부와 지자체가 떠맡은 것은 다행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닥터헬기의 운항을 더욱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운항 대수를 지역 사정을 감안해 지금보다 더욱 늘려야 하는 것은 물론 안전시설과 안전운항에 필요한 투자가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국회의원들이 예산심사를 할 때 표를 얻기 위해 도시민의 공짜 현금복지혜택을 늘리는 데만 열을 올릴 일이 아니다. 소잃고 외양간 고치는 일이 없도록 닥터헬기에 대한 안전투자에 신경을 써야 한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