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가 하반기 중 원격의료 시범사업을 대폭 확대하겠다고 발표했다. 노인요양시설은 현재의 6곳에서 70명 이상 수용한 전국 노인요양병원 680곳중 수요조사를 거친 후 가능한 많은 시설로 확대키로 했다.

도서벽지는 11곳서 20곳으로, 오지 군(軍)부대는 40곳서 63곳, 원양어선은 6척에서 20척, 교정시설은 30곳에서 32곳으로 각각 확대 실시할 계획이다.

또 농어촌응급원격협진사업도 7개 권역 32개 응급실에서 11개 권역 74개 응급실로 확대키로 했다. 복지부는 이러한 원격의료사업 확대로 대상자는 모두 1만200여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의료와 정보통신기술(IT)은 우리나라가 세계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는 분야다. 따라서 의료와 IT를 접목한 원격의료는 우리나라가 세계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분야다. 원격의료 분야의 세계 시장 규모는 2013년 4억달러에 불과했다. 그러나 2018년에는 45억달러 규모로 무려 11배 이상 늘어날 전망이라고 한다. 세계 각국이 원격의료 분야를 미래 성장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경쟁을 벌이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그럼에도 기술력이 가장 앞선 한국의 원격의료가 대한의사협회(의협)와 야당의 반대에 부딪혀 아직도 시범사업에 머물러 있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의협과 야당이 반대하고 있는 것은 원격의료가 의료민영화의 첫 걸음이라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또 원격의료를 실시할 경우 환자들의 대형병원 쏠림현상, 이로 인해 동네의원의 몰락, 오진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이유라고 했다.

그러나 각종 IT 기술이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고 사회의 모든 분야가 이를 이용해 새로운 일거리와 가치를 만들어가는 마당에 오로지 의료분야만 이를 외면하는 것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 환자를 마주보고 앉아 실시하는 대면(對面)진료는 원칙이다. 그러나 반드시 대면진료가 요구되지 않는 분야까지 굳이 이를 고집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복지부가 지난해 5300여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2차 원격진료 시범사업 결과에서도 대상집단별로 83~88%의 높은 만족도를 보인 것은 원격진료의 필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의협이 우려하는 오진 등의 우려는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의협이 우려하는 대형병원의 환자쏠림 현상도 원격의료를 동네의원부터 시행한다면 큰 문제가 없다고 본다. 만일 이외에도 다른 문제점이 있다면 이는 당국과 협의 과정에서 하나하나 해결해 나가면 될 일이다.

의협과 야당의 반대로 원격의료 사업을 위한 각종 첨단 의료기기 개발등 사업이 국내에서 꽃을 피우지 못하고 해외로 나가야만 하는 것이 저간의 의료기기산업 현실이라고 한다. 이는 국내의료계를 위해서도 불행한 일이다. 국내업체가 해외에서 개발한 의료기기를 뒤늦게 역수입해야 하는 사태가 벌써부터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의협과 동네의원이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원격의료를 수용하면 환자들이 더 편하게 동네의원을 찾을 수 있어 새로운 의료시장을 창출하는 기회를 만들 수도 있다. 의협과 동네의원 등 의료계가 눈을 크게 뜨고 원격의료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결단을 내리기를 기대한다. 이렇게 되면 야당도 더 이상 원격의료를 반대하지 못할 것이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