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정복과 신약개발을 앞당길 수 있는 '정밀의료' 추진이 본격화된다.

정부는 10일 박근혜 대통령 주재로 열린 과학기술 전략회의에서 개인 맞춤의료 실현과 더불어 미래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정밀의료를 국가전략 프로젝트로 선정했다.

이를 위해 보건복지부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적어도 10만명의 유전정보, 진료정보, 생활환경 및 습관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수집ㆍ축적하는 '정밀의료 코호트'를 구축하기로 했다.

복지부는 축적된 연구자원을 연계 및 분석해 기업, 병원 등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자원 연계ㆍ활용 플랫폼'을 만들고 의료기관에서 정밀의료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차세대 병원 의료정보체계'도 개발할 방침이다.

특히 한국인 3대 암(폐암ㆍ위암ㆍ대장암) 1만명의 유전체 정보를 확보하고, 이를 기반으로 맞춤형 항암 진단ㆍ치료법을 개발할 계획이다.

폐암의 경우 진단 이후 항암치료를 받았지만 뇌까지 암이 전이된 환자에게 유전자 검사를 통해 폐암의 원인이 변이 유전자 때문이라는 점을 찾아 표적항암제를 처방, 단시일 내에 호전시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의료기관은 질병을 더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어 오진율과 불필요한 치료 및 처방을 줄일 수 있고, 환자에게 맞는 치료법ㆍ의약품 처방이 가능하여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다.

제약사도 유전체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신약개발에 활용할 수 있어 신약개발 성공 확률을 높이고, 유전질환 등 난치병 치료제 개발 가능성도 높일 수 있다는 게 복지부의 설명이다.

이같이 정밀의료는 유전체 정보, 진료 및 임상정보, 생활습관정보 등을 통합 분석, 환자 특성에 맞는 적합한(맞춤형) 의료서비스를 제공해 진료 정확도와 치료효과를 동시에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의료 패러다임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림 참조>

                                          정밀의료 개념 <자료 : 복지부>

복지부는 정밀의료를 통해 오는 2025년에는 건강수명이 76세로 현재보다 3년 높아지고 의료비 증가율이 3%대(현 7%)로 낮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2025년 세계 정밀의료 시장 규모가 147조원으로 우리나라 정밀의료 기술이 7%를 점유, 10조3000억원의 부가가치 창출과 12만명의 고용을 창출할 것으로 복지부는 예상하고 있다.

복지부 이동욱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정밀의료는 이처럼 미래 의료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4차 산업혁명을 이끌 핵심산업"이라며 "연구ㆍ산업화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종합적ㆍ체계적으로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