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임 진료환자 중 시술을 필요로 하는 환자가 10명 중 6명 가량인 것으로 드러났다.

건보공단이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이용해 난임으로 지난 2013년에 처음 진료받은 환자 7만543명을 대상으로 지난해까지 난임 시술 여부 등을 추적한 결과를 26일 공개했다.

2013년 난임으로 진료받은 환자 중 시술을 받은 환자는 1만1041명(15.7%), 시술을 받지 않은 환자는 5만9502명(84.3%)이었으며, 그 가운데 35세 이상이거나 35세 미만이더라도 생식 기관의 이상으로 난임 시술이 필요한 자는 총 4만1169명(69.1%)으로 집계됐다.

연령별 난임 시술로는 35~39세 시술 비율이 18%로 가장 높았고 40세 이상(16.6%), 30~34세(16.3%), 25~29세(12.3%), 24세 이하(5.9%) 순이었다.

소득별로는 소득 수준 3~4분위인 난임 진단자가 난임 시술을 받는 경우가 많은 반면, 의료급여 수급권자와 고소득인 난임 진단자가 시술을 받는 경우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고소득층이 난임 시술 지원 대상이 아닌 이유로 시술률이 낮게 나온 것으로 분석된다.

난임 진단자의 임신성공률은 25~29세에서 78.1%로 가장 높은 데 이어 30~34세도 77.7%로 높은 편이었다.

저연령층(24세 이하)과 고연령층(40세 이상)에서 난임 시술을 받은 경우 임신성공률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난임 시술의 발달로 중증인 고연령층에서도 성공률이 높아지고 있다고 공단은 설명했다.

정부는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같은 빅데이터의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난임 시술 지원 대상자를 확대할 방침이다.

보건복지부는 그 일환으로 전국 2인 가구 월평균 소득 583만원 이하에만 지원하던 난임 시술 대상자의 소득 기준을 전면 폐지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