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한약도 임상시험을 통해 안전성 및 효능이 검증된다.

현재 한약은 양약과 달리 임상,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품목 허가 등의 과정을 거치지 않아 안전성과 품질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내년부터 오는 2019년까지 3년 간 총 300억원을 투자해 한약 비임상연구시설(GLP), 임상용 한약제제 생산시설(GMP), 탕약표준조제시설 등 한약 공공시설 및 인력을 구축한다고 28일 밝혔다. 

탕약은 한의사가 스스로 조제하는 등 기준이 명확하지 않거나, 제약사가 생산하는 한약 제제도 동의보감과 동의수세보원 등 고서에 등재된 성분이라면 임상이 면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한약(탕약 및 한약 제제)도 다른 약과 같이 비임상, 임상 등을 거쳐 안전성 및 효능을 검증하고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GMP)을 준수하는 시설에서 생산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복지부는 이를 위해 다빈도 한약부터 시중에 유통 중인 한약, 전체 한약 등 단계적으로 검증을 지원하고 관계 부처 및 한의계와 협의를 통해 제도 개선을 추진하기로 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이번 사업이 한약의 안전성 및 유효성을 객관적으로 검증하는 데 일조하고, 중국 한약보다 뒤떨어진 '한약(韓藥)'의 산업화 촉진 및 안전성 등 신뢰 회복에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편 국내 한약 제제 생산 규모(2013년 기준)는 2866억원으로 국내 제약시장 19조892억원 대비 1.5% 선으로 보고되고 있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