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소비자뉴스=이한울 기자] 심방세동으로 진단된 환자가 1년내(초기) 뇌졸중에 걸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는 건강보험공단의 심방세동 환자 관련 자료(2007~2013년)를 추적 관찰(평균 3.2년)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고 28일 밝혔다.

뇌졸중이 없으면서 심방세동으로 진단받은 환자(1만4954명) 중 1년내 뇌졸중(허혈성 뇌졸중) 발생률이 6%로 조사된 것이다.

추적 기간 중 전체 뇌졸중 발생률은 9.6%로, 1년내(초기) 발병률이 (전체의) 60%에 해당된다고 질병관리본부는 설명했다.

이는 외국과 비교해 높은 수치다. 세계적 의학지인 란셋에 따르면 동유럽(4%), 중동(3%), 북아메리카ㆍ서유럽ㆍ호주가 각각 2%대로 나타났다.

심방세동은 불규칙한 맥박이 생기는 부정맥의 일종으로 고혈압과 심부전, 심장판막질환 등을 일으키는데, 현재 국내 30세 이상 성인의 심방세동 유병률은 2002년 0.15%에서 2013년 0.47%로 증가 추세다. <표 참조>

                    2002~2013년 남녀 연령대별 심방세동 유병률 <자료 : 질병관리본부>

이번 연구를 통해 심방세동 환자에게 와파린같은 항응고제 치료시 뇌졸중 발병률을 60% 가량 낮출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질병관리본부는 강조했다.

그러나 심방세동 환자의 항응고제 치료율은 13.6%에 그쳤고, 항응고제를 3개월 이상 지속 투여받은 환자도 10.1% 불과했다고 질병관리본부는 덧붙였다.

질병관리본부 심혈관질환과 박현영 과장은 "고령화에 따라 심방세동 환자가 증가세"라며 "뇌졸중 예방을 위해선 항응고제 치료 등 적극적 관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공중보건지 '플로스원' 인터넷판 6월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