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소비자뉴스=오지혜 기자] 난청이 나이, 성별, 학력, 소득 등 사회경제적 요인에 따라 유병률이 달라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 이비인후과 조양선〈사진〉 교수팀은 국민건강연구조사를 바탕으로 12세 이상 국민 1만여명의 난청 유병률을 조사했다.

그 결과, 정상 고막 소견을 보이는 인구에서 잘 안 들리는 귀를 기준으로 난청 인구는 전체 21.9%가 난청 의심 소견을 보였다. 10명당 2명 꼴이다.

난청은 나이에 따라 직접적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화가 본격화되는 40대 이상을 따로 분석하면 유병률이 34.8%로 치솟았다.

같은 노년층이라 하더라도 60대에서 70대로 넘어가면 유병률이 2.5배 늘어났다. 70세 이상 고령자가 81.9%의 난청을 보였다.

성별도 난청과 연관된 것으로 조사됐다.

40대 이상 7434명 중 남성의 경우 유병률이 47%로 여성(29.9%)보다 난청 발생 가능성이 높았다. <그래프 참조>

나이와 성별에 따른 난청 유병률 상관관계〈자료 : 삼성서울병원〉
나이와 성별에 따른 난청 유병률 상관관계〈자료 : 삼성서울병원〉

소득과 학력도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하위소득 계층의 유병률은 56.8%, 중위 계층은 32.9%, 상위 계층은 23.1%로 소득이 많을수록 난청 인구가 적었다.

학력을 기준으로 고졸 미만이 49.5%로 가장 높았고, 고졸은 26.8%, 전문학사 이상은 18%로 학력 상승에 따라 유병률이 감소했다.

또한 소음에 지속적으로 노출된 환경에서 일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난청 발생 위험이 1.28배 높게 나왔다.

2주 이상 우울감 지속시 1.29배, 뇌졸중 발생 이력이 있으면 1.72배 빈혈이 있으면 1.36배 난청 유병률이 더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흡연은 그 자체로 난청 발생 위험을 1.36배 높이고, 20갑년을 기준으로 그 이상인 경우 1.55배까지 키웠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조 교수는 "난청을 단순히 질병 그 자체만 보면 근본적 대책 마련이 어렵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연구”라며 "고령화 사회가 되면서 난청 인구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이 문제를 사회적, 정책적으로 종합해 풀어가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청각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Audiology)' 최근호에 실렸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