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소비자뉴스=오지혜 기자] 내년부터 다른 병원에서 전원되는 중증응급환자만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2차 응급센터가 시범운영된다.

그 대상은 수도권 지역의 국공립 응급센터로,2차 응급센터로 지정된다.

대한응급의학회가 19일 오후 1시부터 서울 중구 LW컨벤션홀에서 이같은 내용의 '응급의료 중장기 정책 개발' 공청회를 열었다.

본지가 공청회를 앞두고 미리 입수한 ‘응급의료 5개년 발전 계획안’에 따르면 내년부터 2022년까지 병원 전단계 중증도 분류 등 타당성 검사와 지역별 이송 병원 체계 검토,법률 개정을 거쳐 지역 거버넌스 체계(병원 전단계 응급의료 지역화)를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아래 표 참조>

이 계획안에 따르면 종별 응급센터(권역응급의료센터ㆍ지역응급의료센터ㆍ지역응급의료기관)의 역할 분담을 재정립하기로 했다.

종별 응급의료 역할 분담에서 권역응급의료센터는 진료 권역내 인구, 환자군, 주변 의료기관들의 진료 능력을 관리 및 분석해 중증응급환자를 치료한다.

지역응급의료센터는 해결 가능한 중증응급환자에 대해 초기 처치하고, 실시간으로 사용 가능한 의료자원을 지역 내 중증환자 치료에 쓸 수 있도록 권역응급의료센터와 협조하기로 했다.

지역응급의료기관은 대형병원이 맡는다. 전원이 필요한 환자에 대해 실시간 정보를 공유하도록 할 계획이다.

응급센터의 재정 지원도 개선된다.

중증응급환자의 적극적 치료를 유도하기 위해 수가 가산, 전문의 진료 및 관리에 따른 보상 등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기로 했다.

응급센터로 지정되면 일반 응급환자 진료 업무를 최소화하거나 없애고, 이송되는 응급환자만을 전담해 진료하도록 할 방침이다. 정부가 운영자금을 보조한다.

전남대병원 응급의학과 허탁 교수는 “그간 응급의료는 지역 간, 계층 간, 응급실 과밀화, 병원 간 이송(전원) 등 의료자원의 불균형이 문제였다”며 “이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마련된 이번 5개년 계획이 응급의료체계의 선진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보건복지부는 이번 공청회를 거쳐 의견을 추가로 수렴한 뒤 내년부터 새로운 응급의료체계를 단계적으로 마련해 시행할 방침이다.

자료 : 대한응급의학회
자료 : 대한응급의학회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