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소비자뉴스=편집국] 보건복지부는 지난 연말 제2차 제약산업 육성지원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연구ㆍ개발(R&D) 지원, 세제 혜택, 수출 지원을 통해 2025년까지 글로벌신약 25개를 생산하고 일자리 17만개를 창출하겠다는 의욕적 내용이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도 때를 맞춰 ‘바이오 경제혁신전략 2025’를 발표했다. 8년 안에 글로벌신약물질 100개를 개발하고 1조원대의 국산 블록버스터 의약품 5개를 만들어내겠다는 것이다.

새 정부가 청와대에 4차산업혁명위원회를 신설해 신약과 첨단의료기기 개발에 의지를 보인데 따른 후속 대책으로 보인다. 4차산업혁명위원회에 별도의 헬스케어특별위원회를 둔 것도 같은 맥락일 것이다.

이미 알려져 있듯 미국에서는 구글 아마존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등 거대 테크(기술)기업들이 헬스케어 시장에서 기업의 생사를 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미국에서만 첨단 정보기술(IT)을 이용한 건강관리시장이 연간 3조달러(약 3225조원)에 달해 이를 선점하기 위한 것이다.

피 한방울로 암을 조기진단하거나 손목에 찬 스마트워치로 맥박의 흐름을 알아내 심장질환을 미리 알아내는 기술은 이미 상용화 단계에 들어섰다고 한다. 전 국민의 생체 자료를 수집해 빅데이터를 이용해 건강과 관련된 정보만을 가려낸 다음 치료방법을 개발하는 거대한 프로젝트도 국가차원의 지원 아래 추진 중이다. 미국의 통신전문기업들이 이같이 제약ㆍ바이오 분야 4차산업혁명을 이끌고 있는 것은 R&D를 위한 거의 무제한적 지원과 걸림돌 제거 및 개인정보 활용 허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미국의 사례는 제약ㆍ바이오 분야의 4차산업혁명이 자료 분석에서부터 의약품 및 기기 제조에 이르기까지 얼마만큼 규제를 개혁하는지에 성패가 달렸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우선 건강관리서비스는 환자들의 자료를 얼마나 많이 확보하고 빅데이터화해 이를 분석하고 진료 및 치료법을 개발하느냐에 있기 때문이다.

불행히도 국내에서는 이러한 정보 활용이 각종 규제 때문에 불가능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하나같은 견해다. 원격의료도 합리적인 선진화 의료행위임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의료 영리화’라는 케케묵은 논리에 막혀 빛을 못보고 있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원격의료 관련 기술이나 새로운 치료술, 기기가 개발의 길이 막혀있다.

정부가 발표한 제약산업육성지원 계획이나 바이오경제 혁신 전략은 나름대로 상당한 의미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계획이 국가의 미래 먹거리 역할을 할 수 있게 하려면 정부의 과감한 기술투자 지원이 우선해야 한다는 것이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의 말이다. 이와 함께 R&D 및 상용화를 가로막는 각종 규제를 어느 정도까지 혁파하느냐에 성패가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박병원 한국경영자총협회장의 발언은 정부 당국자들이 귀담아 들어야 할 것이다. “중국에서 가능한 것은 한국에서도 무엇이든 가능하다는 수준으로 규제가 혁파돼야 한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