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소비자뉴스=오지혜 기자] 어린이 및 노인, 장애인, 저소득 계층 등 사회적 취약층을 위한 응급의료 체계가 개선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립중앙의료원이 최근  ‘사회적 취약계층을 위한 응급의료 구축 방안’을 통해 ‘응급의료센터 기반 취약층 통합 지원’ 모델<아래 그림 참조>을 제시했다.

현재 서울대병원과 연세의료원, 부산대병원 등 지역별 의료기관 40곳에 설치된 사회적 취약층 관련 보호센터에서 피해 어린이 및 여성 등을 상대로 의료 지원뿐 아니라 상담, 심리 치료 등을 제공하고 있지만, 미흡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응급실에서 정신응급 진료가 거의 이뤄지지 않아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응급실(전국 40곳)에서 진료받은 환자(자살환자 포함)의 퇴원은 10명 중 2명에 불과하고, 진료 후 심각하게 정신건강에 문제있는 환자도 10명 중 3명 이상인 것으로 조사(2015년)됐다.

이에 따라 응급의학과와 정신건강의학과의 협업, 통합 지원 등이 개선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를 위해 ‘응급의료 기반 사회적 취약층 통합 지원센터’ 신설과 함께 정부의 예산 지원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사회적 약자가 응급실을 내원하면 24시간 응급 진료 및 상담을 제공하고, 피해자 치료프로그램 운영, 경제적 약자 및 보호자없는 응급 환자의 보호 지원 등이 주요 내용이다.

국립중앙의료원 관계자는 “사회적 약자들은 응급 상황 발생에 취약하기 때문에 응급의료기관 이용이 매우 많다"며 “이들이 건강의료서비스를 받는 마지막 관문이 응급실인 경우가 많아 정신건강 등 제대로 된 진료를 받기가 쉽지 않아 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어 “사회적 취약층에 대한 진료 협력 시스템 구축 등 이들을 위한 응급의료 기반 통합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자료 : 국립중앙의료원
자료 : 국립중앙의료원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