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소비자뉴스=김영우 기자] 한국이 글로벌 임상 점유율에서 세계 6위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임상시험산업본부(이사장 지동현)는 15일 미국국립보건원(NIH)의 글로벌 임상 데이터를 분석해 이같이 발표했다.

2017년 한 해 동안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전체 제약사 주도 의약품 임상시험 점유율 분석에서 미국이 24.5%를 차지하며 부동의 1위를 지켰다.

독일(5.3%), 영국(5.0%), 캐나다(3.9%), 중국(3.7%)이 그 뒤를 이었고, 한국은 3.5%를 기록하며 세계 8위에서 6위로 두 단계 순위가 뛰었다.

등록된 전 세계 임상시험 수는 2016년에 전년 대비 25.4%가 감소한 데 이어 지난해에도 16.3%나 줄었다.

그러나 한국은 글로벌 감소세에도 불구하고 전년과 동일한 수를 유지하며 크게 선전했다.

이런 가운데 중국과 일본의 상승세는 여전히 한국을 위협하고 있다.

최근 임상시험 규제 환경을 대폭 개선한 중국은 5위를 기록하며 역대 최고 순위를 작년에 이어 다시 한 번 갱신했다.

일본 역시 전년 대비 한 단계 상승한 8위를 기록하며 두 나라 모두 시장 규모뿐 아니라 자국의 글로벌 신약개발 열기와 글로벌 임상시험 유치를 앞세운 실질적 규제 조화 노력으로 아시아 임상의 리더십을 되찾고 있다.

 KoNECT가 지난해 식약처 임상시험계획 승인 현황을 자체 분석한 결과(2018.1.4. 기준), 승인된 임상시험 수는 전년 대비 30건(4.8%) 증가했다. 이 증가는 다국적제약사가 신청인인 다국가임상(26.3%)과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10.5%)의 증가에 주로 기인한다. 반면, 국내 제약사가 신청인인 임상시험의 수는 전년 대비 11.1%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지동현 이사장은 “한국의 임상시험 선전은 국내 시설 및 인력 수행 역량의 우수성을 입증하는 것"이라며 "그동안의 꾸준한 정부 지원의 성과"라고 평가했다.

지 이사장은 "현재 임상은 난치성질환자의 혁신신약 접근성을 앞당기고 있을 뿐 아니라, 국민건강보험 재정 절감에도 기여하고 있다”며 “한 발 더 나아가 국내 개발 신약도 3상까지 임상을 진행할 수 있도록, 관 산 학의 임상개발 역량 제고, 지속적인 규제 선진화, 인센티브 도입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