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백신 최덕호 사장이 28일 서울성모병원에서 열린 대한백신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한국백신 제공]
한국백신 최덕호 사장이 28일 서울성모병원에서 열린 대한백신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한국백신 제공]

"독감백신 시장이 확대되고 있지만, 공급과잉에 따른 반복적 폐기 문제 개선이 시급하다."

한국백신 최덕호 대표는 28일 서울성모병원에서 열린 대한백신학회(회장 강진한 가톨릭의대 소아청소년과 교수) 추계학술대회에서 이같이 지적했다.

이날 최 대표는 "2009년 이전 국내 독감백신 시장은 원료를 전량 외국에서 수입한 후 국내에서 완제를 제조하는 독특한 구조였다"며 "국내사 및 수입사 포함 총 9개사의 과당경쟁 구조에다, 수입 원액의 생산수율 문제 및 수요 공급의 불일치로 공급과잉 및 부족, 시기지연 문제도 지속적으로 발생해왔다"고 밝혔다.

최 대표는 "2000년대 이런 국내 상황에서 곧 전염성이 강한 새로운 형태의 독감(인플루엔자)이 세계적으로 유행할 것으로 예견되면서 판데믹(대유행)에 대한 효율적 대응을 위해 초기 7개사(녹십자백신ㆍ동신제약ㆍ동아제약ㆍ보령ㆍ한국백신ㆍCJㆍLG)가 주축이 돼 'IVC(Influenza Vaccine Consortium)'를 결성하게 됐다"며 "그러나 당시 기업 투자에 따른 독감백신 원료생산은 경쟁력없는 사업으로 평가됐고, IVC에서 초기 요청했던 정부 지원 역시 난항을 겪었다"고 말했다.

당시 최 대표는 경실련에서 청와대 박기영 정보과학기술보좌관에게 독감백신 공장 건설을 위한 정부 지원을 요청했고, 노무현 대통령 보고 및 결재를 통한 청와대의 적극적 지원으로 기재부와 산자부의 협의를 거쳐 IVC의 독감백신 생산 기반 지원을 위한 총 160억원의 정부 예산이 편성된 바 있다.

최 대표는 "이후 국내 최초의 독감백신 원료 공장은 녹십자 허영섭 선대 회장의 독감백신 원료 생산에 대한 굳은 의지와 함께 녹십자의 숙련된 인력 인프라를 토대로 전남 화순군에 연 최대 5000만 도즈 규모로 성공적인 건립을 마쳤다"며 "그 결과, 2009년 국가적 위기상황이었던 신종플루 대유행 때 녹십자는 국내 독감백신 공급에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됐고, 이 중 일부는 한국백신에서 완제 위수탁 생산을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음으로 일양약품이 국내 두 번째 유정란 방식 독감백신 원료 공장을 준공했고, 일양약품의 독감백신 완제도 한국백신 공장에서 위수탁 생산해오고 있다"며 "이후 경북도와 안동시도 산자부 중심의 광역경제권 연계협력사업으로 추진했던 ‘인플루엔자 등 백신원료 맞춤형 생산지원사업’ 참여 대상 기업에 SK바이오사이언스를 선정하면서 SK바이오사이언스는 안동시에 국내 최초의 세포배양 기반 백신 생산공장을 준공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최 대표는 "이렇듯 초기 경제성 평가 결과, 사업성이 없었던 국내 독감백신 원료 시장은 청와대, 정부, 국회, 지자체의 예산 및 부지 지원과 함께 식품의약품안전처 및 질병관리본부의 정책적 지원에 힘입은 기업들의 과감한 투자와 노력이 더해져 시장 규모가 확대됐다"며 "이로써 우리나라는 독감백신에 대해 자급자족 국가가 됐고, 이는 정부, 의료계, 학계, 산업계 간 가장 모범적인 성공 사례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국내 독감백신 시장은 국내외 7개사가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으며, 각 기업들 모두 공급과잉에 따른 반복적 폐기 문제에 대한 고충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강진한 교수도 "독감백신의 공급과잉에 따른 반복적 폐기는 어제 오늘의 문제는 아니다"라며 정부에 개선책 마련을 요구했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