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으로 인한 우리나라의 사회경제적 비용이 11조4679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GDP(2016년 기준)의 0.7% 규모에 이르는 수준이다. <아래 표1 참조>

이는 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용익)이 2003~2014년 일반건강검진 수검자 중 비만 관련 질병(45개 군)에 대한 과거력이 없는 1009만1251명을 대상으로 병ㆍ의원 및 약국 지출 의료비,의료기관 간병비, 교통비를 비롯한 직접의료비와 조기사망 및 생산성 손실ㆍ저하로 인한 간접비를 합한 총 비용으로 추계한 '비만의 사회경제적 영향' 연구에서 밝혀졌다.

전체 사회경제적 비용(11조4679억 원) 중 의료비 손실 규모가 51.3%(5조8858억원)로 가장 크고, 다음으로 생산성저하액 20.5%(2조3518억원), 생산성손실액 13.1%(1조4976억원), 조기사망액 10.0%(1조 1489억), 간병비 4.3%(4898억 원), 교통비 0.8% (940억 원) 순으로 손실 규모가 큰 것으로 추계됐다.

이 중 남성의 경우 56.6%(6조 4905억원)로 여자의 43.4%(4조 9774억 원)보다 1.3배 손실이 크게 발생했다.

50대가 26.8%로 가장 크고, 다음으로 60대(21.2%), 40대(18.2%), 70대(15.9%), 30대(7.9%), 80대 이상(7.3%), 20대 이하(2.6%) 순으로 손실 규모가 컸다.

병군별로 보면 당뇨병 비중이 22.6%(2조624억원)로 손실 규모가 가장 크고, 다음으로는 고혈압 21.6%(1조 9698억 원), 허혈성심장질환 8.7%(7925억 원), 관절증 7.8%(7092억 원)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보면 1인당 비용은 전남이 33만8000원,전북이 32만5000원,부산이 31만6000원,강원이 30만7000원 순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를 수행한 건강보험정책연구원 이선미 연구위원은 “30~50대(총 손실의 52.9%), 고혈압 및 당뇨병(총 손실의 44.2%)에서의 높은 손실 비중은 비만이 생산가능인구의 건강을 저해하고, 만성질환 진료비 증가에 기여함을 유추할 수 있는 결과로 향후 비만관리대상의 우선순위 설정 시 고려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말했다.

보건복지부 정영기 건강증진과장은 “비만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특히 진료비의 경우 3년 사이 1.5조원 이상 상승(2013년 4.4조→2016년 5.9조)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비만은 발병 이전에 예방ㆍ관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강조했다.

건보공단 김용익 이사장은 “비만의 총 손실 가운데 의료비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51.3%로 높게 나타나 건보사업 및 재정안정화에 비만 문제가 주요하게 다뤄야 할 과제임을 시사하고 있다"며 "공단의 빅데이터를 활용해 비만예방관리사업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강화,지속적으로 가입자를 위한 보험자의 역할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