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약계가 빠르면 이번주 보건복지부의 제네릭 약가제도 개편안 발표를 앞두고 폭풍전야다.

정부의 제네릭 제도 개편안 당초안은 중소제약사들의 반발을 의식해 2년간 유예기간을 둘 것으로 보인다.제조 인프라가 열악한 일부 영세 중소제약사들의 거센 반발을 의식해 유예기간이 다소 늘 수도 있다.

이 기간동안 인프라를 갖추지 못하면 제네릭 약가의 불이익은 불보듯 뻔하다.

정부가 재평가로 기등재 제네릭 약가를 인하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기 때문이다.

제네릭 등재 약가는 자체생동,직접 생산,원료의약품 등록 등 3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하면 지금과 같은 53.55%의 약가를 보장하는 큰 틀은 유지될 전망이다.

다만,이런 조건을 충족하지 못할때마다 10%씩 약가를 낮추는 ‘가혹한’ 방식이 적용될 것이 유력해 특히 중소제약사들은 초비상이다.

그러나 일부 중소제약사들의 거센 반발을 의식해 제네릭 약가 제도가 약간 미세조정될 가능성도 있어 주목된다.

정부의 약가 개편안 발표가 당초보다 다소 늦어지는 것도 이런 원인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약가 제도의 큰 틀은 제네릭의 제조 방식에 따라 결정되는 식으로 바뀌면서 중소제약사들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제네릭 제조 인프라를 갖추고 있는 상위권 중심으로 재편되는 등 약가 제도 개편안이 제약판을 뒤흔들 수도 있기 때문이다.

정부가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약가인하를 추진했어도 제네릭 가격을 오리지널약가 대비 절반 정도 산정해줬는데,이번 개편안은 이런 '울타리'가 없어 가히 충격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제네릭에 기대어 살아온 일부 영세 중소제약사들은 벌써 존폐까지 거론하고 있을 만큼 위기의식에 휩싸여 있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