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생존자는 치료 후 다시 직장에 복귀하려고 하지만,직장의 환자에 대한 배려와 지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암 유병자는 173만명(1999~2016년)에 달하고 있지만,이들의 직장 복귀율은 30.5%에 불과해 해외 평균(63.5%)에 턱없이 낮다.

분당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 양은주 교수ㆍ심혜영 박사(제1저자) 연구팀은 국내 직업환경의학 전문가 44명을 대상으로 암 생존자의 업무적합성평가 경험, 사업장 연계 현황, 직장복귀 개선방안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전체 응답자 중 암 생존자를 대상으로 ‘진료 경험이 있는 사람’은 25.0%(11명), ‘경험이 없는 사람’은 75.0%(33명)로 나타났다.

진료 경험이 있는 사람들은 연평균 12.6명의 암 생존자를 진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대다수 직업환경의학 전문가들의 암 생존자에 대한 진료 경험이 낮았다.

'사업장 관리자는 암 환자 직원의 직장 복귀를 위한 재활에 최선을 다하나'라는 질문에 40.9%가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해 사업장의 지원과 배려가 불충분했다.

또한 직업환경의학 전문가도 '암 환자와 의사소통이 힘들다'는 의견이 61.4%로 나타나 암 생존자와의 의사소통에 장벽이 있음이 드러났다.

연구팀은 암 생존자 직업복귀를 극복하기 위해선 근로자의 직업복귀 능력 배양, 직장 내 근로 환경 개선, 사내 복지기금 마련 및 혜택, 사업주의 인식 개선 등을 꼽았다.

사회제도 측면에서는 단계적인 재활 프로그램 도입, 사회인식 측면에서는 교육을 통한 일반인의 암에 대한 이해도 향상 등도 거론됐다.  

양은주 교수는 “암 생존자는 암 치료에 대한 후유증으로 신체적 한계가 있을 수 있지만 재활치료와 훈련을 받는다면 직장에 복귀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건강을 회복할 수 있다”며 “신체 상황과 업무 요구도에 적합한 평가가 이뤄지면서 사업장과 의료인의 소통과 연계해 암 생존자 맞춤형 근로 환경이 제공될 수 있다면 좋을 것 같다”고 밝혔다.

심혜영 박사는 “암 생존자는 일을 할 수 없을 것이라는 편견이 존재하지만 생각보다 많은 암 환자들이 직장에 복귀하고 싶어한다”며 “건강한 모습으로 직장과 사회에 복귀할 수 있도록 사회 전체적인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기업이나 국가에서는 치료 및 검사를 위한 유급 휴가를 지원해주거나 탄력 근무, 직무 변경 등을 함께 고민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대한의학회지(JKMS) 최근호에 게재됐다.  

                                     양은주 교수ㆍ심혜영 박사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