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선천성 림프 세포가 폐암 세포 성장에 관여하는 것을 최초로 밝혀냈다.

서울대병원 병리과 정두현 교수 연구팀(제1저자 고재문 전임의)은 비소세포 폐암 환자 80명의 암 조직을 이용해 암면역 미세 환경을 분석한 결과를 9일 발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폐암세포가 '인터루킨-23'을 분비해 선천성 림프구 세포의 아형 분포 변화를 유도하고, 이로 인해 증가된 아형의 선천성 림프구 세포는 '인터루킨-17'을 분비해 종양 성장을 촉진시켰다.  

폐암은 유병률이 높고 예후가 불량한 종양이다. 최근 면역요법이 폐암 환자의 생존을 증가시킴으로써 이에 관한 암면역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종양 내에는 암세포와 면역세포의 상호 작용이 종양의 생존에 영향을 준다. 이 때문에 종양 미세 환경에 대한 이해가 면역치료법 개발에 필수적이다. 최근 발견된 선천성 림프구 세포는 항원 특이성이 없는 면역세포로 천식 등 염증성 질환에서의 기능은 많이 알려졌으나 종양에서의 역할은 정립되지 않았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비소세포 폐암의 암세포가 분비하는 '인터루킨-23'이 종양 내에 존재하는 선천성 림프구 세포의 아형1을 아형3으로 변화시키고, 증가된 아형3에서 분비하는 '인터루킨-17'이 폐암 세포의 성장을 촉진함을 밝혀냈다. 폐암세포 성장의 새로운 기전을 규명한 것이다.<그림 참조>

연구팀은 환자의 암조직을 이용한 체외 실험뿐 아니라 생쥐 종양 모델에서도 같은 현상을 확인함으로써 이런 기전이 실제 체내에서 발생하는 것임을 증명했다.

따라서 폐암에서 ‘인터루킨-23, 선천성 림프구 세포 아형3, 인터루킨-17’의 축이 종양의 새로운 생존 전략 메커니즘으로 작용함을 최초로 규명한 것이다.  

정 교수는 “이번 연구로 암세포와 면역세포간 상호 작용이 폐암의 성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혀냈다”며 “폐암 환자 치료의 새로운 타깃을 제시한 것”이라고 연구 결과의 임상적 의의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저명한 국제학술지 ‘임상 암 연구(Clinical Cancer Research)’ 최신호 온라인에 발표됐다.

정두현, 고재문
                                                    정두현 교수(왼쪽)ㆍ고재문 전문의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