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다공증 치료 전문가들은 골다공증 치료의 지속률 개선이 가장 시급하며 이를 위해 치료제 보험급여 기준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이는 대한골대사학회(회장 윤병구ㆍ이사장 정호연)가  5월28일~6월1일 열린 제31차 춘계학술대회에서 학회 소속 국내 골다공증 치료 전문가 114명을 대상으로 골다공증 치료 정책 관련 인식 설문 조사에서 나타났다.

조사결과,현재 골다공증에 대한 정부의 질환 심각성 인식이나 정책적 지원이 충분한 지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88.6%가 ‘부족하다’고 답했다. 이유는 60.5%(복수응답)가 만성질환 대비 제한적인 약물 치료 보험급여 기준을 꼽았다.

'우리나라 골다공증 치료 환경에서 가장 개선이 필요하다'는 설문(복수응답)에는 골다공증 치료 지속률 향상(64.9%)을 꼽았다.

치료 지속률이 저조한 원인이 무엇인가 묻는 질문(복수응답)에는 골다공증 치료제의 제한적인 급여 적용 요건(60.5%)을 가장 많이 답했다.

현재 우리나라 골다공증 치료제 급여 기준 상 골밀도 수치가 일정 수준(T-score -2.5) 이상으로 개선되면 치료제에 대한 건강보험 급여가 중단된다.

또한, 증상 개선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 질환 특성(55.3%)과 골절 발생 등 치료 중단 시의 심각성에 대한 환자들의 인식 부족(53.5%)도 낮은 치료 지속률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골다공증 치료 환경을 개선시킬 가장 효과적인 정책 방안을 묻는 질문(복수응답)에는 전문가들이 골다공증 약물 치료를 유지할 수 있도록 건강보험 지원 범위를 확대(63.2%)하고,골다공증을 고혈압ㆍ당뇨병처럼 정부의 만성질환 관리 대상에 포함시킬 것(58.8%)과 골다공증의 검진 기회를 늘릴 것(34.2%)을 각각 주문했다.

한편, 전문가들은 골다공증성 골절이 발생한 환자들이 겪고 있는 가장 큰 어려움(복수응답)으로 골다공증성 골절 및 재골절로 인한 신체적 고통(57.0%), 시술 및 수술로 인한 장기 요양(50.9%), 골절 및 환자 간병 문제로 인한 환자와 환자 가족들의 스트레스(41.2%)를 꼽았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