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인공지능(AI)를 활용한 신약개발을 위해 플랫폼 구축을 추진하고 3년간 258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보건복지부는 13일 이같은 내용으로 'AI 활용 신약개발 활성화 사업 방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이를 위해 AI와 신약개발 전문가로 구성된 연구팀과 기관을 구성할 방침이다.

신약 후보물질 도출, 임상시험 등 신약 개발 단계별로 맞춤형 AI 플랫폼을 구축하고, 성공 가능성이 있는 후보물질 발굴, 신약 재창출, 스마트 약물감시 3개 부문을 선도적으로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AI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을 통해 기존 신약개발에 투입된 1조원 이상의 연구개발(R&D) 비용과 15년에 달하는 상용화 기간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내 연구데이터, 병원 진료정보, 정보통신기술(ICT(정보통신기술) 등을 이용해 신약개발 시간과 비용을 절감시킨다는 것이다.

이번 사업에선 신약개발의 첫 단계인, ‘신약 후보물질의 발굴’을 돕는 인공지능 플랫폼 개발을 위해 아론티어, 중앙대,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대 4개 팀이 연구를 진행한다.

아론티어(연구책임자 고준수)는 서울아산병원 유전체 데이터, 간(肝) 오가노이드(줄기세포를 3차원적으로 배양하거나 재조합해 만든 장기 유사체) 실험 데이터를 통해 폐암ㆍ뇌암 등 치료제 개발 플랫폼을 개발하고, 중앙대(연구책임자 나도균)는 한국화학연구원의 화합물 데이터를 바탕으로 질병 치료의 단서가 되는 단백질을 예측, 퇴행성 뇌질환에 특화된 플랫폼을 개발키로 했다.

대구경북첨복재단(연구책임자 이지영)은 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의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모델을 만들고, 유한양행의 주요 제약사의 화합물 데이터를 활용, 이를 발전시켜 표적항암제 개발 플랫폼을 구축한다.

이대(연구책임자 최선)는 항암제, 섬유화 치료제를 연구하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의 슈퍼컴퓨팅 등을 이용한 클라우드 플랫폼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미 개발된 의약품을 활용한 신약개발 방법인 ‘신약 재창출’을 지원하기 위한 연구도 진행된다. 재창출된 신약의 경우 기존 임상 승인을 통해 안전성이 검증됐던 약품인 만큼, 추가 임상 기간이 짧아 저비용 고효율의 장점이 부각되고 있다.

신약 재창출 플랫폼을 개발하기 위해 한국과학기술원(연구책임자 이관수 교수) 연구팀은 기존의 약물 작용 기전을 모사한 딥러닝 모델을 개발하고, 실험 검증 등을 통해 플랫폼을 발전시킬 예정이다.

또 의약품의 시판 후에 이뤄졌던 기존의 사후적ㆍ수동적 약물 감시체계를 보완하기 위해 서울아산병원(연구책임자 박숙련)은 면역항암제 빅데이터를 집중 학습해 약물 이상 반응의 조기 예측과 신속 대처를 위한 약물 감시 지원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 고서곤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앞으로 몇 년이 신약개발에 대한 새로운 도약의 시기가 될 것”이라며 "신약개발과 AI 융합을 적극 지원해 바이오헬스 분야의 성공사례를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