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새로운 치은섬유종 진단 바아오마커를 발견했다. 

연세대 치과대학 보철과학교실 이재훈 교수ㆍ포항공대 생명과학과 김상욱 교수 공동 연구팀은 한 가족에 대한 생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이같은 성과를 얻어냈다.

치은섬유종은 잇몸이 섬유화되고 크기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희귀질환으로 미용적 문제뿐 아니라 구강암의 요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특히 치은섬유종은 약물, 유전, 환경적인 요인으로 수술 후 재발이 많아 분자 수준의 치료 메커니즘에 중요한 바이오마커 발굴이 절실하다. 그러나 이러한 희귀질환 연구의 경우 샘플 수가 부족한 경우가 많아 정확한 바이오마커를 찾는 연구가 어려운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연구팀은 부모의 경우 치은섬유종을 앓지 않았지만 남매인 자녀 2명에게서 모두 치은섬유종이 발병한 가족의 유전자 정보를 분석했다.

새롭게 개발한 유전체 분석 기술을 기반으로 각 환자에 대해 유전자 변이와 RNA 양의 변화를 동시 분석해 교차 검증하는 방법을 썼다.

이를 통해 연구팀은 RNA 양 변화를 일으켜 치은섬유종 발병으로 이어지게 하는 특정한 변이 유전자 그룹, 즉 치은섬유종 진단 바이오마커를 발견하는 데 성공했다. 유전자 변이 ETVI, SMAD4, SOX30 등이 대표적이다.

이번 연구는 치은섬유종 발병 가능성이 있는 환자군에 대해 질환 발병을 예측하고 예방을 위한 치료를 시행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나아가 다른 희귀질환의 바이오마커 발견에도 적용 가능한 연구라는 점에서도 의의가 크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 교수는 “생체신호전달에 중요한 SMAD4 유전자와 세포 형질전환 성장인자-베타(TGF-β) 인자의 신호전달 경로 내 다양한 바이오마커 유전자 그룹을 확보했다"며 "이 신호전달 경로 내의 다른 다양한 유전자들도 추가적인 바이오마커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와 같은 생체 네트워크 기반의 환자-유전체 데이터 분석 생물정보 분석 기술이 더 많은 희귀병의 바이오마커를 찾는 데 응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치과학 관련 분야 국제저널 Oral Disease 온라인판에 최근 게재됐다.

이재훈 김상욱 교수
                                                                                                     이재훈(왼쪽)ㆍ김상욱 교수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