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적으로 신체활동이나 운동을 하는 사람일수록 자살충동이 낮아진다는 국내 연구팀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자살충동은 자살 예방 연구의 중요한 지표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신체활동이 자살충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번 연구결과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녀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고려대 안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한창수(사진) 교수와 김현욱 전공의는 7167명을 대상으로 운동습관 뿐만 아니라 성별, 소득, 음주여부등과 자살충동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국민건강영양조사에 포함된 국제신체활동설문(IPAQ) 기준에 따라 운동량을 낮음 ㆍ적당함ㆍ높음 등 3가지 그룹으로 나눠 조사했다.

운동량이 낮은 그룹의 자살 충동 비율은 9.1%인데 비해 적당히 운동하는 그룹의 자살 충동 비율은 6.6%로 약 1/3 감소했다.

또한 남성보다는 여성이 꾸준한 운동으로 자살충동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지나치게 많은 운동을 하는 그룹에서는 자살 충동 비율은 6.3%로서 소폭으로만 감소했다.

이는 지나친 신체 활동은 오히려 대인관계 결여, 근육이상, 섭식장애 등 안 좋은 결과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한창수 교수는“신체활동이 정신질환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몇몇 연구가 있었지만 자살충동에 대해 신체활동이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상대적으로 덜 주목 받아왔다”면서“활발한 신체활동은 자살충동을 낮추는데 분명히 도움이 되지만 지나친 운동은 오히려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 교수는 "추후 성별 및 신체활동 범위 여부에 따른 자살충동 관련 권장 사항 제안을 위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2017년 우리나라의 자살건수는 1만2463건이었으며 자살률은 24.3명으로 OECD 국가 중 2위를 기록(2016년 기준)했다.

특히 취업난과 경쟁으로 인해 심각한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20대는 2017년 전체 사망자중 절반에 달하는 44.8%가 자살이었고, 육체적으로 어려움을 호소하는 65세 이상 노인 자살률은 58.6명이었다.

이는 OECD 평균의 3배에 달하는 높은 수치이다. 이처럼 국내에서 자살은 정신질환의 가장 심각한 합병증 중 하나이다.

신체활동 이외에도 자살충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양하며 우울증과 극심한 스트레스 등을 통해 한번이라도 자살충동에 대한 생각을 가져봤다면 온라인 자가진단 등을 통해 스스로 주기적인 점검을 시행하고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상담을 받는 것이 좋다.

또한 평소 긍정적인 사고를 유지하도록 노력하고 균형 잡힌 영양섭취로 건강한 몸 상태를 유지하는 생활습관을 통해 자살충동 요인을 사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문가들은 강조한다.

운동량 기준 판단

1. 운동량 높음

- 1주일간 최소 3일 동안 격렬한 강도의 활동으로 최소 1500 MET(Metabolic Equivalent of Task, 1분간 소비되는 단위 체중당 에너지 소비량) 이상의 신체 활동.

- 1주일간 최소 3000 MET의 총 신체 활동에 달하는 걷기 혹은 적당한 강도와 격렬한 강도 활동의 조합으로 7일 이상의 신체활동. 

2. 적당 운동량

- 1주일간 하루에 최소 20분 기준으로 3일 이상의 격렬한 신체활동.

- 1주일간 적당한 강도의 활동을 5일 이상하거나 하루에 최소 30분,5일 이상 걷기.

- 1주일간 최소 600 MET 이상의 신체 활동에 달성하는 걷기 혹은 적당한 강도와 격렬한 강도 활동의 조합으로 5일 이상 신체활동.

3. 낮은 운동량

 -운동량이 적당하거나 높음의 그룹에 들어가지 않는 사람.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