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성한 사회활동을 하는 40대가 공황장애 질환을 가장 많이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공단이 23일 발표한 2014~2018년 ‘공황장애’ 환자 15만9428명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진료환자는 5년간 연평균 14.3% 증가했다. 여성이 남성의 1.2배 많았다. 작년 연령대별 진료현황을 보면, 40대 환자(3만8825명ㆍ24.4%)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50대(3만3057명ㆍ20.7%), 30대(2만9530명ㆍ18.5%) 순으로 전체 환자(15만9000명)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보 가입자 중 공황장애로 요양기관을 방문한 진료환자는 2014년 9만3000명에서 작년 15만9000명으로 70.5%(연평균 14.3%) 늘었다.<그래픽 참조>

연도별 ‘공황장애(F41.0)’질환 진료인원 현황
                                                         

남성은 2014년 4만3000여명에서 작년 7만3000명으로 연평균 13.8%, 여성은 4만9000여명에서 8만6000명으로 연평균 14.6%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박선영 교수는 공황장애 환자가 30~50대 중장년층에서 가장 많은 원인에 대해 “일반적으로 공황장애의 호발 연령은 젊은 성인으로서, 어떤 나이에도 발병할 수 있다"며 "공황장애의 위험 요인으론 사회경제적 자원의 결핍, 흡연, 알콜 문제, 최근 이혼이나 이별과 같은 스트레스 사건 등이 있는데, 이런 생활사의 기복이 가장 많은 연령대에 호발하는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 교수는 20대의 연평균 증가율이 가장 높은 원인에 대해선 "최근 학업, 취업 등 사회 초년기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20대에서 스트레스에 따른 공황장애 발병이 늘어나는데, 이는 20대에서 우울증 발병이 증가하고 있는 현상과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공황장애와 우울 증상이 동반되는 때가 흔하고, 공황장애에서 주요 우울증이 약 25%에서 공존한다"고 밝혔다.

인구 10만명당 지난해 진료환자는 312명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13.8% 증가했으며, 남성은 287명, 여성은 338명으로 나타났다. 작년 적용인구 10만명당 연령대별 진료환자는 40대가 460명으로 가장 많았은 데 이어 30대 396명, 50대 390명 순이었다.

진료비도 연평균 18.6% 증가했다. 진료비는 2014년 312억원에서 2018년 616억원으로 304억원이 늘었다. 입원진료비는 16억원에서 23억원으로 연평균 9.5% 상승했고, 외래는 242억원에서 497억원으로 연평균 19.7%, 약국은 54억원에서 96억 원으로 연평균 15.5% 각각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2018년 공황장애 질환 형태별 진료비현황
                                      자료 : 건보공단

공황장애 증상

공황장애는 반복적인 공황발작과 예기불안이 특징적인 증상으로 갑작스럽게 심한 공포나 불편함이 수분 내 최고조에 이르고, 이 동안 신체적 및 정신적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신체적 증상으로는 빈맥, 심장의 두근거림, 호흡곤란, 발한 등이 있으며, 정신적 증상으로는 극심한 불안, 죽을 것 같은 두려움, 정신을 잃을 것 같은 두려움 등이 있다.

예기불안은 공황발작이 다시 올 것에 대한 두려움이 있어 공황발작을 경험한 상황에 노출될 것을 상상하거나 노출되기 전 공황발작과 비슷한 증상을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공황발작이 올 것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공황발작이 올 것만 같은 장소(공공장소, 답답한 장소, 대중교통, 터널 등)를 회피하게 된다. 이런 회피 증상은 불안을 지속, 강화시키고 일상생활을 위축시키기도 한다. 

공황장애 원인

공황장애의 생물학적인 원인은 신체 내 노르아드레날린, 세로토닌 등의 신경전달물질이 관련돼 있다. 외부 유발 물질로는 이산화탄소, 카페인 등이 있다. 심리적으로는 신체 감각에 대한 예민함이 공황장애 발병에 중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불안 민감성이라고 불리는 이런 심리적 현상은 사소한 감각이나 불편도 ‘큰 병이 아닐까, 죽는 것이 아닐까, 공황발작이 오는 것은 아닐까’ 하는 공포로 이어지게 되고, 이 공포가 자율신경계 각성을 일으켜 증상을 악화시키게 된다. 공황장애의 위험 요인으로는 청장년 시기의 나이, 여성, 사회경제적 자원의 결핍, 흡연, 알콜 문제, 부모의 정신장애, 생애초기 외상적 사건이나 학대, 불안성 기질, 최근의 이혼이나 이별과 같은 스트레스 사건 등이 있다.

공황장애 진단ㆍ검사

반복된 공황발작과 예기불안 등의 증상을 보이면 전문의의 면담을 통해 진단할 수 있다. 다만 먼저 공황발작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약물이나 내외과적 질환을 우선 감별해야 한다. 카페인 및 각성제(일부 다이어트 약물 등)이나, 알코올 금단증상도 유사한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감별해야 할 내외과적 질환으로는 심장질환, 호흡기질환, 갑상선기능항진증, 저혈당증 등이 있다. 

공황장애 치료방법

먼저 공황장애 약물치료의 목적은 공황발작의 반복을 줄이는 것인 동시에 예기불안, 회피행동 및 우울증처럼 공존질환을 치료하는 것이다. 흔히 항우울제로 알려진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가 매우 효과적이다. 또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은 빠른 효과를 보이기 때문에 유용하다. 공황장애의 약물치료 효과는 약 3개월 후 평가를 하며, 약물에 반응을 한 이후에도 약 6개월 이상 치료를 지속한다. 만성적이고 재발이 잦아 대개 12~24개월의 유지 치료가 권장된다. 

비약물적 치료로는 인지행동치료가 효과가 입증돼 있다. 공황장애에 대한 교육을 통해 불안해지지 않도록 안심하고, 예기불안이 공황발작을 유지ㆍ악화시키는 것에 대해 인지 오류를 교정하고, 불안 반응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공황장애 예방법

가장 쉬운 공황장애 예방법은 위험 요인을 피하는 것이다. 스트레스를 피하거나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고 금연ㆍ금주가 매우 중요하다. 커피를 많이 마시는 것 또한 공황발작을 유발, 악화시킬 수 있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