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젠시스 투여 환자들간 약물 혼용은 없었다" "그간 시중에 떠돌았던 루머는 근거 없음으로 밝혀졌다"

헬릭스미스는 14일 보도자료를 통해 이같은 내용의 임상 3-1상 환자 500명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하고 "엔젠시스(VM202) 약동학(PK)에 이상현상이 없었다"고 밝혔다.

이 회사는 이와 함께 임상 3-1상에서 위약 대비 통계적 유의미성을 갖추지 못해 주평가지표 목표 달성 실패를 자인했다.

다만 101명의 환자를 상대로 보완해서 실시한 확대 임상3상(3-1B)에서는 주평가지표인 안전성과 부평가지표인 유효성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회사 측은 "안전성은 엔젠시스와 위약 간 부작용(AE)의 빈도와 그 정도에 큰 차이가 없었고, 엔젠시스와 관련된 AE나 이상반응(SAE)는 전혀 없었다"며 "이는 통증 산업계에서는 매우 드문 일"이라고 말했다.

헬릭스미스는 "확대 임상 3상에서 통증 감소 효과는 6, 9, 12 개월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유효성을 명확히 관찰하였고 위약군과 엔젠시스군 간의 통증감소 효과 차이는 각각 1.1, 0.9, 0.9였다"고 밝혔다.(p<0.01 혹은 <0.05)

또 전반적 치료 만족도는 365일째 전반적 환자변화 평가(PGIC patient global impression of change) 분석에 의하면 엔젠시스군에서 “매우 크게 향상되었다"고 응답한 환자가 플라시보군 대비 유의미하게 많았다.(p=<0.01)

가바펜틴 계열 약물 비복용자에서의 효과는 프리가발린 혹은 가바펜틴과 같은 당뇨병성 신경병증(DPN) 진통제를 복용하지 않는 환자 53명에서 6, 9, 12 개월에서 전체집단 분석 값보다 더욱 높았다.(6, 12개월, p=<0.05, 9개월 p=0.0504)

회사 측은 "장기간 약물 효과에서는 엔젠시스 약물이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8개월 이상 약물효과가 유지되었다"며 "이는 엔젠시스가 DPN 질병전개 과정을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엔젠시스가 DMD(disease modifying drug) 혹은 재생의약 잠재력이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임상 3-1과 3-1B은 환자들의 성격이 거의 같기 때문에 유사한 결과가 나오지 않은 것에 대해 헬릭스미스는 "이러한 모순의 원인을 밝히기 위해, 두 개 임상시험의 데이터들을 정밀분석한 결과, 임상이 진행될수록 환자들에서 통증에 대한 반응이 높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이유를 밝혔다.

헬릭스미스는 "임상 3-1에서는 주평가지표 달성에 실패했다"면서 "이는 엔젠시스 약효의 부족 때문이 아니라 통증이라는 지표의 특수성과 이에 따른 특별한 임상운영(clinical operation) 방법 상의 문제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헬릭스믹스는 "후속 임상 3상을 조만간 진행할 예정으로서, 후속 임상3상 (3-2) 프로토콜은 사실상 완성된 상태"라고 말했다. 회사측은 "FDA 제출 시기는 PK 조사결과 보고서 전달 시점에 맞춰 조율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헬릭스미스는 "국내에서는 안전성을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상수(常數)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며 "그러나 '통증성 당뇨병성신경병증(PDPN)과 같은 대중적 만성질환 분야에서 혁신 신약을 개발할 때는 안전성이 시판허가에서 가장 우선적이면서도 중요하게 고려되는 평가지표"라고 설명했다. 또 "통증 분야에서는 아무리 유효성이 있어도 안전성에 문제가 있으면 허가를 받지 못하거나, 설혹 받았다 하더라도 시장에서 퇴출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