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업계가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3중고(重苦)를 겪고 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지난 주말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업계의 매출이 급감함으로써 경영상 어려움에 처해 있다”며 “정부의 획기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내용의 건의문을 보건복지부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협회가 밝힌 경영상 첫 번째 타격은 매출 급감이다. 코로나19 사태 발생 후 각 병ㆍ의원의 환자 수가 사태 전에 비해 최대 46%나 줄었고 이로 인해 제약사들의 매출액이 무려 1조8000억원이나 감소했다.

둘째는 이러한 매출 감소로 각종 연구개발(R&D)과 투자 위축에 이어 임상시험까지 지연되고 있다고 했다. 심지어 일부 개발 중인 의약품은 임상을 원점에서 다시 시작하는 일까지 발생하고 있어 중기적으로는 수천억원의 손실까지 각오해야 한다는 현장의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셋째는 외국 원료 수급 불안으로 원재료 가격 상승 압박까지 받고 있다. 국내 대부분의 제약사들이 의존하고 있는 중국의 일부 원료의약품 공장이 폐쇄된 데다 인도까지 26종의 원료의약품 수출을 중단함으로써 원료약의 수급 불안정 현상까지 빚고 있다. 원료약 가격이 25% 상승 시 국내제약사들에 1조700억원의 비용 증가 요인이 발생한다는 것이 협회 측의 전망이다.

이같이 제약바이오업계가 3중고를 겪고 있는 상황에서 복지부가 국내제약사들을 위한 선제적 비상대책을 세우지 않고 손을 놓고 있는 것은 코로나19에 따른 제2ㆍ제3의 파장을 불러올 가능성을 보이는 것이다.

이러한 와중에 복지부는 지난 1월 의약품의 실거래가를 조사해 1000억원 규모의 약가인하 조치를 단행했다. 이어 내년 1월까지 사용량 증가 및 가산 기간 제한에 따른 사후 약가 인하 방침에 따라 2000억원의 추가 약가 인하를 계획하고 있다. 이뿐 아니다. 기등재된 의약품에 대해 재평가 실시를 통해 약가를 인하하는 ‘약제 규제 정책’을 지난달 23일 입법예고하고 오는 7월부터 실시할 방침이다.

제약업계에 따르면 기등재 의약품에 대해 재평가를 실시해 약가를 인하하는 약제 규제 정책 대상 품목의 시장 규모만 모두 5조6530억에 이르고 이를 통해 인하될 약가가 65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사실상 모두 1조원에 이르는 약가를 인하하겠다는 이야기다.

정부가 코로나로 어려움에 처한 제약사들을 돕기는커녕 약가를 내려 더 어려움에 빠지도록 수렁에 밀어넣고 있는 격이다. 이는 제약사들의 신약개발과 글로벌 제약사 육성을 지원한다는 정부의 약속과도 다르다. 그러면서 민간 제약사들에 일자리 창출을 위해 투자를 독려한들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정부는 우선 위기에 처한 제약사를 위해 우선 급한대로 사후 약가 인하 제도와 새로운 약제 규제 정책을 코로나 위기를 극복할 때까지 1년동안 유예하거나 중단하는 등 파격적인 지원을 해야 한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