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코로나19와 관련해 혈장치료제 개발에 제도적으로 중점 지원키로 했다. 이를 위해 완치자 혈장 채취 기관 확대 등 지원 방안이 마련된다. 혈장치료제는 혈장 속 항체가 들어있는 면역 단백질만 분획해 고농도로 농축해 만든 의약품을 뜻한다.

정부는 8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코로나19 치료제ㆍ백신 개발 범정부 지원단(이하 범정부 지원단ㆍ아래 그림 참조) 2차 회의를 열어 신약 등 개발 동향 및 전략을 점검했다.

이날 회의에서 보고된 개발 동향에 따르면 치료제는 기존 약물의 적응증 확대(신약재창출) 연구 7종의 임상시험이 진행되고 있다. 빠르면 연말쯤 출시될 전망이다. 백신은 후보물질 3종이 올해 중으로 임상이 개시되며, 내년 하반기 중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신약재창출 연구 7종 임상 "빠르면 연말쯤 출시"… 백신 내년 하반기 중 생산 가능

정부는 이 회의를 통해 개발 속도를 높이기 위한 규제 개선 지원 방향도 논의했다. 이를 위해 범정부 지원단<명단ㆍ표 참조>은 '혈장치료제 개발의 제도적 지원'과 '공공 생물안전시설의 민간 지원'과 연관돼 제도를 시급히 개선할 방침이다.

먼저 혈장치료제 개발의 제도적 지원 방안이 마련된다. 혈장치료제의 신속한 개발을 위해선 코로나19 완치자의 혈장이 다량 필요하지만, 의료기관이 아닌 대한적십자사에선 연구용 혈장을 채혈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보건복지부는 대한적십자사에서 연구용으로 혈장을 채취할 수 있도록 관련 법령을 적극적으로 해석하며 혈장 채혈 장비가 부족한 의료기관에 성분채혈기 임대를 통해 채혈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 복지부는 치료제 개발용 혈장 채취와 관련 세부 절차를 담은 ‘혈장 치료제 개발을 위한 코로나19 완치자 혈장 채취 지침’을 마련, 안전하고 신속한 혈장 채취 표준을 제시할 계획이다.

◇정부, 신속한 혈장 채취 표준 제시 계획… '생물안전연구시설 민간지원팀' 구성도 

민간(기업)의 치료제 및 백신 개발 촉진을 위한 생물안전시설의 민간 지원 방안도 마련된다. 코로나19 치료제 및 백신 후보물질의 효능 평가는 생물안전3등급시설(BL3)이 요구되지만, 민간에선 자체 시설 구축이 어려워 공공기관 BL3 시설의 개방 및 활용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어 제도적으로 지원된다. 

정부는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에 생명공학연구원 등 BL3 운영기관 목록을 게시하고, 산ㆍ학ㆍ연의 연구시설 이용 수요를 검토한 후 공공기관 BL3 시설의 활용도를 높일 계획이다. 질병관리본부는 ‘생물안전연구시설 민간지원팀’를 구성, 수요 접수ㆍ우선 순위 검토 및 안전관리 등의 업무를 맡는다.

◇박능후 장관 "기업 애로 사항 상담 후 원스톱 해결… R&D 자금까지 맞춤형으로 지원"

복지부 박능후 장관은 "코로나19 치료제ㆍ백신 개발 지원 정책에 전략적 관점이 필요하다"며 "안전성과 효능이 확보된 치료제 및 백신을 국내 자체적으로 신속히 개발하는 데 산ㆍ학ㆍ연ㆍ병의 역량 결집과 함께 외국 개발 제품이나 원료, 필수 방역물품 등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투트랙' 접근을 기본 방향으로 한다"고 말했다.

박 장관은 "이를 위해 관계 부처와 기업 애로 사항을 상담한 후 원스톱으로 신속히 해결할 것"이라며 "각 기업들이 처한 상황이 다양한 만큼, 규제 개선부터 연구개발(R&D) 자금까지 맞춤형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최기영 장관은 "코로나19 사태에 대한 근본적 해결책은 결국 치료제와 백신 개발"이라며 "이 감염증의 고(高)전파력과 2차 유행 가능성, 향후 제2ㆍ3의 새로운 코로나 바이러스 유행 가능성까지 염두에 두고 산ㆍ학ㆍ연 전반에서 치료제ㆍ백신 관련 R&D 역량이 강화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자료 : 보건복지부
자료 : 보건복지부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