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신약 개발에 10년간 약 2조2000억원(임상 분야 7315억원)을 투자한다.

보건복지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는 정부 합동으로 국가신약개발사업과 범부처 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의 2개 범정부 사업이 국가재정법에 따른 예비타당성(예타) 조사(2019년 11월~2020년 6월)를 통과해 내년부터 2030년까지 10년간 이같이 투자 지원한다고 3일 발표했다.

10년간 정부는 신약에 총액 약 2조2000억원, 재생의료에 총액 약 6000억원을 투자, 기초ㆍ원천 연구부터 치료제 개발까지 전주기 연구개발(R&D) 지원할 방침이다.

◇국가신약개발사업 '예타 조사' 통과… 기초 연구부터 치료제 개발까지 전주기 지원

국가신약개발사업은 ▲기초 연구부터 ▲비임상 ▲임상 ▲제조ㆍ생산까지 신약개발에 필요한 단계별 과정을 전주기에 걸쳐 지원하는 사업으로, 내년부터 10년간 총 2조1758억원 규모(국비 1조4747억원)의 사업 추진 타당성이 인정됐으며, 보건복지부 R&D 사업 중 역대 최대 규모다.

분야별론 신약 기반 확충 연구에 3600억원,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 9344억원, 신약 임상 개발 7315억원, 신약 R&D 사업화 지원 1499억원으로 각각 책정됐다. <표1 참조>

이 사업은 보건복지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의 관련 선행사업들을 통합해 정부부처별 칸막이 없이 한 사업으로 지원되며, 3개 기관이 단일 사업단 관리 체계를 구축해 범부처의 역량을 모아 대학과 연구소, 유망 기업 등에 맞춤형으로 통합 상담ㆍ지원(원스톱 컨설팅) 등이 실시된다.

◇신약 기반 확충 연구 3600억ㆍ'생태계' 구축 9344억 등… 복지부 R&D 사업 최대 규모 

이를 통해 정부는 앞으로 10년간 연매출 1조원 이상 블록버스터급 글로벌 국산신약 개발(탄생)을 목표로 우리나라 제약산업의 경쟁력이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범부처 재생의료 기술개발사업도 핵심인 기초ㆍ원천기술부터 치료제ㆍ치료기술 임상 단계까지 전주기적으로 지원된다. 재생의료는 손상된 인체 세포와 조직을 대체하거나 재생, 정상 기능으로 회복시키는 혁신형 의료기술(세포치료ㆍ유전자치료ㆍ조직공학치료)을 가리킨다.

복지부에 따르면 미래 의료기술로 주목되고 있는 재생의료는 기존 법 체계론 새로운 기술 개발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작년 '첨단재생바이오법' 제정에 따라 이 분야 여건이나 생태계가 새롭게 조성되고 있어 이를 촉진할 수 있는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산ㆍ학ㆍ연ㆍ병의 기대가 높은 상황이다.

◇줄기세포ㆍ유전자치료제 등 기술에 전략적 투자 강화… "혁신신약 개발로 난치병 극복" 

이에 이번 예비타당성 평가를 통해 재생의료 분야 전주기 기술 개발 촉진을 목표로 내년부터 10년간 총 5955억원 규모(국비 5423억원)의 사업 추진 타당성이 인정됐다. <표2 참조>

자료 : 보건복지부ㆍ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자료 : 보건복지부ㆍ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부는 우리나라가 강점이 있다고 평가받는 줄기세포치료제의 기술 경쟁력 지속 강화와 아울러 유전자치료제 및 조직공학 등 미래 성장 가능성이 높은 핵심 기술에도 전략적 투자를 강화키로 했다.

복지부 임인택 보건산업정책국장은 "바이오헬스 산업 발전을 통해 혁신신약을 개발함으로써 희귀ㆍ난치질환을 극복하고, 제약ㆍ의료기기 기술 국산화로 건강 주권을 지키면서 국민생명ㆍ건강보장 강화, 경제 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통한 '사람 중심 혁신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임 국장은 "이번 예비타당성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내년부터 사업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도록 관계 부처가 함께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