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킨슨병에서 흔히 동반되는 치매를 예측할 수 있는 ‘치매 발병 위험도 예측 모델’이 개발됐다. 그동안 파킨슨병 치매를 예측할 수 있는 도구가 없던 상황에서 이번 예측 모델이 치매 발병 위험을 측정할 수 있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세의대 신경과 이필휴ㆍ정석종 교수팀은 초기 파킨슨병 환자에서 신경인지검사를 기반으로 치매 위험도를 예측하는 치매 예측 모델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파킨슨병은 대표적인 퇴행성 뇌질환으로 중뇌에 위치한 흑질이라는 뇌의 특정 부위에서 도파민을 분비하는 신경세포가 서서히 소실돼 가는 질환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파킨슨병 환자는 2015년 9만660명, 2017년 10만716명, 2019년 11만147명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파킨슨병은 흔히 치매를 동반하게 되는데 파킨슨병을 10년 이상 앓은 환자의 45%, 20년 이상 앓은 환자의 80% 정도에서 치매가 발병할 수 있다고 보고됐다.

파킨슨병 환자는 추후 치매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초기에 발병 위험이 높은 환자를 선별해 적극적으로 인지기능을 관리하는 게 필수적인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현재 세계 각국에서 파킨슨병 치매 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위험 인자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효과적인 예측 인자는 발견하지 못한 실정이다. 파킨슨병 치매 연구 분야의 선두 주자인 유럽에서 파킨슨병 치매 예측 인자로 후두피질 연관 인지 영역을 제시했지만, 제한적인 연구 방법으로 일반화시키기 어려운 상황이며, 특히 동서양 간 유전적 배경의 차이로 해당 방법은 한국형 파킨슨병 환자에 적용하기가 제한됐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에 연구팀은 초기 파킨슨병 환자 350명을 평균 5.6년 동안 추적 관찰하며 파킨슨병 진단 시 시행한 신경인지검사의 인지기능 저하 패턴이 추후 치매를 예측할 수 있는지 확인했다. 

각 환자에서 인지기능 저하 패턴을 확인하기 위해 수학적 모델을 통해 신경인지검사 데이터를 영역별 점수로 단순화했다. 각 인지 영역은 ▲시각 기억ㆍ시공간 능력 ▲언어 기억 ▲전두엽ㆍ실행능력 ▲집중ㆍ작업기억ㆍ언어능력 4가지 능력으로 구분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추적 기간 동안 350명의 환자 중 78명(22.3%)의 환자에서 치매가 발생했고 4개의 영역 중 전두엽ㆍ실행능력의 점수가 치매 발생 위험도에 가장 큰 영향을 줬다.

                                   각 인지영역의 점수에 따른 치매 발병 위험 예측력

영역별 치매 위험도는 ▲시각 기억ㆍ시공간 능력 ▲언어 기억능력 ▲전두엽ㆍ실행능력 ▲집중ㆍ작업기억ㆍ언어능력 점수가 1점씩 높아질 때 치매 위험도는 각각 47.2%, 19.3%, 57.2%, 7.7%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 연구팀은 파킨슨병 환자 데이터를 활용해 5년 이내 치매가 발생할 위험을 계산할 수 있는 수식적 도구인 노모그램을 개발했다. 해당 노모그램은 각 영역별 수치를 점수화해 한국형 파킨슨병 환자들의 향후 치매 발생 위험도를 손쉽게 예측할 수 있도록 만든 프로그램이라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파킨슨병 치매 예측모델(치매예측도를 계산할 때는 집중ㆍ작업기억ㆍ언어 점수는 유의한 변수가 아니라 제외)

실제로 연구팀은 350명의 환자 중 파킨슨병을 30개월 동안 앓고 있는 69.5세 남성 환자의 신경인지검사 데이터를 노모그램을 통해 치매 위험 예측모델에 적용했다. 해당 환자의 2013년 첫 측정 당시 영역별 점수는▲시각 기억ㆍ시공간 능력 1.36점, ▲언어 기억능력  0.61점, ▲전두엽ㆍ실행능력 2.04점이었다. 각각의 점수를 노모그램 점수로 변환해보면 치매 예측도(LP)는 –2.219로 5년 이내 치매 발생 위험도는 1.2%이다. 실제로 이 환자는 2013년 7월부터 5.95년간의 추적 기간 중 치매가 발생하지 않았다.

반면 파킨슨병을 36개월 동안 앓고 있는 73.2세 남성 환자의 경우 2013년 첫 측정 당시 영역별 점수가 ▲시각 기억ㆍ시공간 능력 –1.62점, ▲언어 기억능력 –1.02점, ▲전두엽ㆍ실행능력 –1.31점으로 전두엽ㆍ실행능력점수가 현저하게 낮게 나타났다. 각각의 점수를 노모그램으로 환산하자 치매 예측도는 2.71이었고 5년 이내 치매 발생 위험은 81%였다. 실제로 이 환자는 첫 추적을 시작한 2013년 9월 이후 2.7년의 추적 기간 중 치매가 발생했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이필휴 교수는 “지금까지 파킨슨병 치매를 예측할 수 있는 도구가 없는 상황에서 치매 조절 약제를 개발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개발된 예측 모델이 추후 파킨슨병 치매 조절제 조기 발굴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번 연구는 서양과 다른 한국형 파킨슨병 치매에 특화된 치매 예측 모델을 발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신경학회 학술지 ‘신경학(Neurology)’ 최신호에 게재됐다.

                                     정석종 교수                                 이필휴 교수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