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환자들이 직장으로 복귀하기 위해서는 담당 의사가 환자의  건강ㆍ체력을 고려하여 직장에서의 근무 능력을 파악하고 치료를 하면서 근무를 할 수 있도록 중요한 정보를 고용주와 공유토록 지원해야 한다.[사진=외신캡쳐]

암 진단을 받은 사람은 직장을 그만 두어야 할까?

최근 일본 폐암학회가 환자와 의사를 대상으로 의식 조사 데이터를 분석 발표해 주목을 끌고 있다.

분자표적 약이나 면역 요법 등으로 폐암도 약물치료 선택의 여지가 많아 치료를 계속하면서 회사일을 하는 환자가 많아졌다.

미츠토미 테츠야(光冨徹哉) 교수가 중심이 된 긴키대학 연구팀은 지난해 일본 폐암 환자 레지스트리에 등록된 1650명의 환자와 일본 폐암학회의 의사 회원 8241명을 대상으로 ‘폐암의 치료와 취업의 양립에 관한 조사’라는 설문 결과를 최근 ‘Cancer Medicine’지 온라인판을 게재했다.

설문에 응답한 환자는 287명(17.4%), 의사는 381명(4.6%)이었으며 응답한 환자 평균 연령은 51세~60세가 40.8%, 41세~50세가 31.7%로 40대~60대가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했다. 응답한 의사의 연령은 41세~50세가 33.6%, 51세~60세가 26.0%로 40대~60대가 전체의 약 60%를 차지했다.

일본 폐암학회는 이번 설문 조사 분석을 통해 환자 개별 상황에 맞춘 지원을 위해 중시해야 한다며 의사 역할을 3가지를 제시했다.

의사는 환자의 근무 복귀를 위한 이야기를 먼저 꺼내야 한다.

이번 조사에서 의사 90% 이상이 자신이 담당하는 환자가 일을 계속하고 싶어 하거나 건강 등 상황에 따라 결정하고 싶다고 답변했다. 환자가 약물 요법을 시작하기 전에 업무에 관해 의료진과 대화를 가졌다고 응답한 비율은 불과 22.6%에 그쳤다. 42.9%는 회사 업무에 관한 이야기를 한 적이 없다고 답했다.

일본 후생노동성이 2015년에 실시한 조사에서 환자 21%가 암으로 진단된 시점에서 바로 은퇴를 하고 40% 이상은 치료 시작 전에 은퇴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암으로 진단되고 2주 동안이 환자가 가장 고민하는 시기로 갑자기 퇴직으로 몰리지 않는 상황을 만들기 위해서 의사는 환자가 자신의 의견과 불안을 말할 수 있도록 분위기 조성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의사는 약물 요법에 따른 부작용과 근무 환경을 고려해야 한다.

이번 조사에서는 폐암 환자 45.3%가 약물치료 시작 후 휴직 또는 퇴직을 강요당했다고 응답했다. 또 환자의 28.9%는 회사 일을 할 수 있도록 부작용이 적은 치료 옵션을 제공 받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진행성 폐암 환자의 표준 약물치료는 세포장애성 항암제와 면역관문억제제의 병용 요법이지만 부작용이나 신체에 부담은 개인차가 있고 직종에 따라 부작용의 허용 범위가 다르다.

따라서 연구팀은 치료 옵션을 제시할 때 의사가 부작용에 의해 생활이 위협받는 것을 염두에 두고 부작용의 영향이 직종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를 포함한 대응책을 환자와 대화하면서 최선의 치료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권고했다.

의사는 환자 직장에 대한 정보 공유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환자가 원하는 경우 의사는 환자 직장에 대한 정보를 적극적으로 수집할 필요도 있다. 왜냐하면 직장에 따라 암으로 진단된 직원의 대응책이 없는 경우 근무 ​​환경과 상관없이 고용주의 생각에 따라 치료와 근무의 양립이 어려울 수도 있다. 실제로 2017년에 실시된 한 조사에서는 고용주가 암으로 진단된 경우 전문가와 상담을 하여 조언을 구할 제도가 정비되어있는 곳은 불과 18.4%였고 직원이 암 진단을 털어놨을 때 고용주가 담당 의사와 직접 상담하고 조언을 구한 기업은 불과 16.0%였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의사는 환자의 건강·체력을 고려하여 근무 능력을 파악하고 치료를 하면서 근무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를 고용주와 공유토록 지원해야 한다.

후생노동성은 2018년에는 ‘일과 치료의 양립 지원에 관한 진료 보수 지침’을 신설했다. 암 환자의 치료와 근무를 지원하기 위한 대응에 기업이나 의료기관이 협력하여 해결을 촉구하는 내용이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