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최근 치매 환자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앞으로 치매 환자 관리에 약국과 약사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정부가 지난 2017년 '치매국가책임제'를 도입해 현재 전국에 256개소의 치매안심센터가 설립돼 치매환자의 건강을 관리하고 가족들의 돌봄 부담을 줄이고 있으나 아직 지역약국과의 협력체제 구축이 잘 이뤄지지않고 있어 국가책임제의 실효성이 떨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2019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우리나라는 고령인구의 비율은 매우 빠른 속도로 증가해 오는 2045년 세계에서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이 가장 높은 국가가 되며, 2067년에는 65세 인구 비중이 47%까지 치솟을 것으로 보고 있다.<그래프 참조>

세계와 국내 고령인구 구성비 비율.[자료=통계청,2019년]

우리나라보다 앞서 고령사회에 진입했던 일본은 이미 2005년부터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20% 이상인 초고령사회로 접어들었으나, 우리가 초고령사회로 가는 속도가 일본보다 더 빨라 문제가 심각하다는 것.

이처럼 급속한 고령화에 따른 노인질환인 치매유병률 또한 급속히 증가해 65세 이상의 10.3%인 76만 명에 달하는 치매환자수가 2025년 1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치매가 개인과 가족들의 문제가 아닌 사회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선진국처럼 지역 약국고  약사가 치맥관리서비스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재단법인 의약품정책연구소(소장 박혜경)에 따르면 일본에서는 치매정책 추진 종합전략인 ‘신오렌지플랜’을 통해 치매가 의심되는 사람을 조기에 발견해 주치의 등과 연계해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치매초기집중 지원팀에 약사를 포함시키고 있다.

아오모리현, 야마나시현의 경우 약국에서 치매 셀프체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건강 간호 길거리 상담 약국’이 운영되고, 후쿠시마현의 경우 약국에 ‘치매대응약국’ 스티커를 부착해 치매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운영하고 있다.

영국도 먼저 치매친화약국으로서의 치매를 가진 환자들의 접근성이 높아질 수 있도록 약국환경을 조성 및 안내표지, 조명, 바닥재에 대한 지침에 따라 운영하되 약사와 약국 종업원이 치매 환자에게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환자 응대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나아가 치매안심마을고 지역약사위원회가 서로 치매 협력체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약사들과 약국스태프가 치매 친화 훈련을 받고, 치매 친화적인 서비스를 개발함과 동시에 지역사회서비스로 연계를 활성화하기 위한 여러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의약품연구소는 설명했다.

박혜경 소장은 “다른 나라에서는 이처럼 노령화 시대에 급격히 증가하는 치매환자 관리를 위해 지역사회의 약국 및 약사들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 2017년 치매국가관리제가 시행된 이래 아직까지 약국의 역할을 찾지 못하고 있다"면서 "따라서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대응 상황에서 뿐만 아니라, 상시적이고 효율적인 지역사회통합돌봄 체계 구축의 일환으로서 약국에서의 치매관리 서비스 모델 개발이 이루져야 할 때”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