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다국적제약사 화이자와 독일의 바이오엔텍이 공동으로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이 90% 효과가 있다는 임상 결과가 공개돼 상업화 단계에 이르렀음이 밝혀지면서 국내 코로나 백신 및 치료제 개발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화이자 백신은 현재 마지막 임상 3상 단계의 과정을 거치고 있어 내년부터는 상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이러한 백신을 정작 한국은 아직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는 데 있다. 미국이 6억회분, EU(유럽연합) 3억회분, 일본 1억2000만회분, 영국 캐나다 맥시코 호주 뉴질랜드 칠레 등이 수 천만회분씩 분량을 일찌감치 확보했음에도 한국만이 아직도 화이자 백신 확보에 어정쩡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선납 계약금을 내야하는데다 백신 개발이 실패할 경우 이를 돌려받지 못하는 조건 때문에 백신 확보를 미뤄온 탓이다.

그렇다 하더라도 코로나 백신 및 치료제의 국내 개발은 반드시 필요하다. 앞으로 발생할 수도 있는 제3ㆍ4의 코로나 팬데믹(대유행)에 대비해야 하기 때문이다. 현재 국내에서 코로나 치료제와 백신 개발엔 10개 업체가 참여하고 있고 거의 임상 1상에 진입한 것으로 알려진다. 앞선 외국에 비해선 상당한 격차가 있다. 따라서 정부의 지원은 지금보다 더 강화돼야 한다.

그런데도 코로나 백신이나 치료제 개발에 대한 정부의 지원 의지는 거의 실망적이다. 정부는 올해 초 코로나 백신과 치료제 개발을 위해 2000억원 이상의 예산을 지원하겠다고 했었다. 그러나 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예산안엔 이보다 적은 1707억원에 그치고 있다. 국회예산정책처분석에 따르면 정부가 작성한 새해 예산 555조8000억원 가운데 각종 복지비로 97개 사업에 110조8933억원의 현금 현물 서비스비용으로 지출되는 것에 비하면 코로나 백신 치료제 개발 지원비는 새발의 피라해도 할 말이 없을 것이다. 특히 65개 사업에 나가는 101조9762억원은 모두 현금을 직접 나눠주는 복지비용이다.

국민 세금은 더 생산적이고 고용 효과가 높은 곳에 투자돼야 마땅하다. 그 투자 대상은 곧 기술 개발과 산업 분야임은 두 말할 필요가 없다. 비생산적 현금 뿌리기 복지보다 코로나 백신 및 치료제 개발과 같은 시급한 기술 분야와 산업에 투자에 우선 순위를 두는 것이 국가 미래와 후손을 위한 길임을 정부는 잊지 말기 바란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