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9구급대가 이송한 급성 심장정지 환자는 3만782명으로 생존율은 8.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일반인이 시행하는 심폐소생술을 받은 환자는 2008년 1.9%에서 지난해 24.7%로 크게 늘어났다.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과 소방청(청장 신열우)은 9일 급성심장정지조사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2019년 구급대가 이송한 급성심장정지환자 3만여명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한다. 또 질병관리청과 대한심폐소생협회(이사장 황성오)가 개정한 ‘2020년 한국형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도 발표한다.

질병청과 소방청에 따르면 2019년 119구급대가 이송한 급성심장정지환자 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60명이었다. 급성심장정지 발생률은 2006년부터 2015년까지 꾸준히 증가했으나 이후 인구 10만명 당 60명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급성심장정지환자 발생 추이

시ㆍ도별로는 강원(96.6명), 제주(94.5명), 전남(89.0명) 등이 높았고 서울(46.2명), 광주(44.7명), 세종(32.2명)이 낮은 편이었다. 의무기록조사가 완료된 환자 3만279명 중 2623명이 생존하여 생존율은 8.7%였으며(남자 10.3%, 여자 5.7%), 뇌기능 회복률은 5.4%였다.

일반인이 시행하는 심폐소생술을 받은 환자는 2019년 24.7%로 2006년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했고 심폐소생술을 받은 환자의 생존율은 2019년 기준으로 15.0%로 심폐소생술을 받지 않은 환자(생존율 6.2%)에 비해 생존 확률이 높았다.

2020년 한국형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 개정에는 간호협회, 마취통증의학회 등 15개 전문단체에서 101명의 전문가가 참여하였으며 국제소생술교류위원회(International Liaison Committee on Resuscitation)에서 2020년 10월 21일 발표한 ‘심폐소생술에 관한 과학적 합의와 치료 권고’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의료 환경 및 제도 등을 반영하여 만들었다. 또한 가이드라인 개정을 위해 기본소생술, 전문소생술, 소아소생술, 신생아소생술, 소생후 치료, 교육 및 실행 등 6개 분과 전문위원회를 운영했다.

주요 개정 내용을 살펴보면 심장정지 치료단계를 보여주는 ‘심장정지 생존사슬’을 병원 밖과 병원 내로 구분하여 제공하고 구급상황(상담)요원 역할, 생존자 재활, 응급의료종사자 교육, 사회관계망 서비스 활용 등이 강조되었다. 특히 기본심폐소생술에서는 환자를 침대에서 바닥으로 옮기지 않고 심폐소생술을 시행하고 기도 이물질 제거방법으로는 등 두드리기를 먼저 시행하도록 권고하는 내용 등이 변경되었다.

또 코로나19 감염(의심)환자에게 심폐소생술을 실시할 때는 심폐소생술 전 보건용 마스크 등 개인용 보호구 착용, 시행 후 손씻기, 코로나19 검사 수행 등을 권고했다.

황성오 대한심폐소생협회 이사장은 가이드라인 개정에 대해 “일반인이 쉽게 구조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구급상황(상담)요원 역할을 강화했으며 코로나19 감염의심 상황에서도 심폐소생술 시행하도록 독려하여 환자의 생존률을 제고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2020년 한국형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은 마무리 작업을 거쳐 내년 1월 질병관리청 누리집을 통해 공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