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이 지난주 ‘코로나 예방접종 대응추진단’을 본격 가동함으로써 2월 접종 계획을 공식화했다. 의료계 일각에선 질병관리청이 설날(2월12일) 이전에 접종을 시작한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이는 질병청이 정치권의 요구를 받아들여 서울ㆍ부산시장 보궐선거를 앞두고 설 민심의 움직임을 의식한 정치 접종을 하는 것 아니냐는 의심까지 낳고 있다.

이 때문에 설날 이전에 무리하게 접종을 시작하다 졸속 접종으로 인한 예기치 않은 사고 발생이 우려된다는 지적도 있다. 백신 제품별 콜드체인(백신의 영하보관시설)의 확보, 의료인 교육, 대국민 교육 등이 아직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 국민들은 원하면 누구나 백신을 맞을 수 있다는 막연한 기대를 갖고 있는 반면 실상은 그렇지 않다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요양병실의 고령자를 비롯한 고위험군과 의료진 접종에도 백신의 양이 부족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같은 고령자군이라도 시설 입원자 등을 배려하는 등 구체적 우선 순위가 아직 정해지지 않는 등 백신 도입 및 공급의 투명성 확보도 서둘러야 할 과제다. 이러한 행정적 문제점 외에도 백신의 안전성 문제도 해결해야 할 과제다.

현재 정부가 확보한 코로나 백신의 물량은 5600만명분이다. 정부는 여기에 앞으로 2000만명분의 백신 추가 도입 가능성도 내비치고 있다. 외국에 비해 비교적 짧은 기간에 이처럼 전체 인구를 웃도는 백신의 양을 확보한 것을 홍보하기에 바쁜 모습이다. 그러나 백신은 필요한 물량을 확보했다고 해서 문제가 다 해결되는 것이 아니다.

지금까지 개발된 코로나 백신은 해외에서도 안전성을 두고 끊임없이 논란을 빚고 있다. 노르웨이에선 화이자 백신을 맞고 75세 이상 노인 29명이 사망했다는 외신 보도가 있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또 개발된 제품의 각종 부작용으로 인해 연내에 집단면역을 형성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런데도 국내에선 질병관리청이 11월까지 집단면역이 가능하다고 밝힌 것은 백신 접종에 대한 의도적인 과잉 홍보라는 지적이다.

특히 국내에서 위탁생산하는 코로나 백신은 안전성이 아직 입증된 바 없다. 백신은 대륙별 인종별 임상시험을 거쳐야만 그 안정성을 인정받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일찌감치 해외 개발 백신을 도입한 일본도 현재 영국의 아스트라제네카 제품에 대해 일본인 250명을 대상으로 임상을 실시 중이라고 한다.

이외에도 공급 체계상 발생할 수 있는 문제도 있을 수 있다. 미국과 영국의 경우 확보한 백신의 물량이 충분한 데도 제때 공급이 안돼 1인분으로 2명이 접종하거나 1ㆍ2차 접종 시기를 4주에서 8~12주로 늘려 잡는 등 접종에 차질을 빚고 있다. 백신 도입과 접종 준비가 늦은 한국도 이러한 차질을 빚지 말라는 법이 없을 것이다. 정치적 효과를 노리고 백신 접종을 서두르는 것이 능사가 아니다. 다소 늦더라도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인 백신 접종이 되도록 정부가 모든 노력을 기울여주기 바란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