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일반병동 입원환자의 질병에 대한 급성악화를 모니터링하고 신속한 치료를 제공하는 ‘한국형 신속대응시스템’ 표준모형 개발에 나선다.

국민건강심사평가원은 23일 이같은 내용의 ‘신속대응시스템 시범사업 평가 및 표준모형 개발 연구’에 7000만원의 용역비를 지불키로 하고 입찰공고를 냈다. 일반병동은 전담전문의가 상주하고 있는 중환자실과 달리 지속적 감시 부족 및 복잡한 보고체계 등으로 급성악화 환자에 대한 신속대응에 한계가 있다. 

심사평가원은 의료기관 환자안전 관리 활동지원, 일반병동 입원환자 안전강화 및 의료 질 향상을 위해 신속대응시스템 시범사업을 2019년 5월부터 시행하고 있고 이번에 신속대응시스템 시범사업 효과평가를 통해 본 사업 전환 방안 마련키로 했다.

연구의 주요 내용은 ▲신속대응시스템 국내ㆍ외 현황 조사 ▲신속대응시스템 시범사업 효과평가를 담는다.

시범사업 현황분석 및 운영현황 전ㆍ후 효과평가는 시범사업 운영실적 및 진료행태 분석과 신속대응시스템 운영 전ㆍ후 및 참여와 미참여 기관의 임상결과 비교분석을 통해 ▲심정지 발생률 ▲계획되지 않은 중환자실 입원 ▲예기치 않은 사망 등 임상결과 개선효과를 분석한다. 또 신속대응 중재환자 사례분석을 통해 신속대응팀 중재 유무에 따른 입원일수, 사망건수, 요양급여비용 등 진료결과 비교분석한다.

이와 함께 시범사업 참여 의사 및 간호사를 대상으로 시범사업 전반에 대한 경험조사 및 결과분석을 통해 만족도 조사도 실시 한다.

심사평가원은 시범사업 모형별 수가 수준 및 수가 분류별 운영효과를 분석하여 수가모형의 타당성 평가 및 개선방안 제시하기로 했다. 특히 병상규모, 운영시간, 인력 등 고려한 한국형 표준모형 개발하고 시범기관별로 달리 적용하고 있는 고위험환자 분류기준 및 신속대응시스템 활성화에 대한 표준지침도 개발하여 정책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건강보험 수가 보상방식을 제안키로 했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