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감, 우울감 등 정신적 요인이 만성콩팥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김동기 교수팀(박세훈 전임의)은 ‘만성콩팥병 유전자 컨소시엄’과 ‘영국 바이오뱅크’ 데이터를 활용해 나이, 성별 등을 비롯해 일반적인 행복감, 삶의 의미, 우울감, 과민정도 등 정신적 건강 관련 정보 등 약 100만 여명의 유전체 데이터를 분석했다.

만성콩팥병 유전자 컨소시엄 데이터를 활용한 연구 결과, 전반적인 행복감이 높은 사람은 만성콩팥병 발생 위험이 낮게 나타닜다.

"행복(‘행복’, ‘매우 행복’, ‘극도로 행복’)하다"고 응답한 사람은 "불행하다(‘불행’,‘매우 불행’, ‘극도로 불행’)"고 응답한 사람보다 만성콩팥병 발생 위험이 약 31% 낮았다.

삶의 의미도 관계가 있었다. "자신의 삶에 대해 의미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만성콩팥병 발생 위험이 약 23% 낮았다.

반면 우울감과 과민 정도는 만성콩팥병 발생 위험을 높였다.

"우울감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우울감이 없다"고 응답한 사람에 비해 만성 콩팥병 발생 위험이 약 45% 높았다. 또한 과민 정도가 높은(과민점수>=5) 사람 또한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발생 위험이 16% 높았다.<그림 참조>

4개의 정신적 요소가 만성콩팥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 행복하고, 삶에 만족하는 경우 만성콩팥병 발생 위험이 낮은 반면, 우울감이나 과민 정도가 높은 경우 발생 위험이 높았다.

연구팀은 또 다른 논문을 통해 동일한 약 100만여명의 유전체 데이터에서 수면과 만성콩팥병의 관계도 보고했다.

수면 시간을 세 그룹(‘부족(6시간 미만)’,‘적정(6-9)’, ‘과다(9시간 이상)’)으로 분류했을 때, 부족한 수면 시간은 만성콩팥병 발생 위험 향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번 연구는 정신적 요인과 만성콩팥병의 인과 관계를 직접 증명했다는 의의가 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고혈압, 비만 등 성인병이 콩팥기능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정신건강적 요인과 만성콩팥병의 관계를 다루는 연구는 부족했다.

김동기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정신 건강이 만성콩팥병이라는 신체 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의료진은 혈압, 혈당 수치 등 기존에 알려진 의학적 지표 외에도 환자의 감정적 상태나 수면시간 등 정신건강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편 두 개의 연구는 모두 신장 분야 최고 권위의 ‘미국 신장학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최근호에 게재됐다.

왼쪽부터 신장내과 김동기 교수, 박세훈 전임의
김동기(왼쪽) 교수, 박세훈 전임의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