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0년 추적 관찰을 통해 직장암 치료에서 복강경 수술이 종양학적으로 안전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금까지 직장암 복강경 수술은 한국, 유럽, 미국, 호주에서 널리 시행됐었지만 무작위 임상시험 결과가 상충되어 안전성 논란이 제기돼 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이러한 논란에 종지부를 찍고 직장암 복강경 수술이 표준 수술법으로 자리 잡는데 중요한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2018년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대장암은 위암ㆍ갑상선암ㆍ폐암에 이어 네 번째로 많이 발생했다. 대장암 발생자수는 2만7909명으로 전체 암 환자의 11.4%다. 이 중 33%는 직장암 환자다.

직장암 치료방법은 내시경을 이용한 절제술, 외과적 수술, 항암화학방사선 치료 등이 있다. 특히 직장암 수술은 좁은 골반 내에서 암 조직은 남기지 않으면서 자율신경과 괄약근 등 중요한 조직과 장기는 손상하지 않아야 해 까다롭고 어려운 수술로 알려져 있다.

서울대병원(정승용ㆍ박지원 교수), 국립암센터(오재환 교수), 분당서울대병원(강성범 교수) 공동연구팀은 2006년~2009년 수술 전 항암화학방사선 치료를 받은 2기 또는 3기 직장암 환자 340명을 무작위로 배정한 후 10년을 추적 관찰ㆍ분석한 결과를 12일 발표했다. 

이 중 복강경 수술군 환자 2명의 추적 관찰이 중단돼 총 33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개복 수술(170명), 복강경 수술(168명)에 따른 10년 전체생존율, 무병생존율, 국소재발률을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복강경 수술군의 전체생존율과 무병생존율이 개복 수술군과 비슷한 생존율을 나타냈다. 복강경 수술을 받은 환자의 10년 전체생존율과 무병생존율은 각각 76.8%와 64.3%, 개복 수술을 받은 환자는 74.1%와 59.3%였다.

직장암 개복 수술(파란색)과 복강경 수술(빨간색)의 10년 전체생존율
                          직장암 개복 수술(파란색)과 복강경 수술(빨간색)의 10년 전체생존율

10년 국소재발률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복강경 수술을 받은 환자군 3.4%에서 암이 재발했지만 개복 수술의 경우 8.9%에서 재발했다.

연구팀은 "지금껏 직장암 복강경 수술에 대한 5년 이상의 장기 추적 결과가 발표된 적은 없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의미 있는 결과"라며 "직장암에서 수술 전 치료 후 국소 재발까지 걸리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확실한 생존을 평가하기 위해 추적 관찰 기간을 10년으로 연장했다"고 밝혔다.

정승용(대장항문외과) 교수는 "그동안 직장암에 대한 무작위 임상 연구들이 발표되었지만 10년 이상의 추적 관찰을 통한 장기 생존을 분석한 연구는 지금까지 없었다”며 “이 연구는 수술 전 항암화학방사선 치료를 받은 직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복강경 수술의 장기적인 종양학적 안전성을 세계 최초로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란셋 계열의 국제학술지 '란셋 위장병학ㆍ간장학(The Lancet Gastroenterology&Hepatology)' 최신호에 게재됐다.

한편 연구팀은 2010년에 같은 환자를 대상으로 복강경 수술이 개복 수술보다 통증이 적고 수술 후 회복이 빠르며 단기 삶의 질이 우수하다는 결과를 보고한 바 있다. 또 2014년에 임상시험의 1차 최종 지표로 3년 무병생존율에 있어서 복강경 수술이 개복 수술과 비슷하다는 것을 보고했었다.

 서울대병원 대장항문외과 정승용(왼쪽), 박지원 교수
                                         정승용 교수                                         박지원 교수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