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기 폐암 환자들은 다른 장기로 암이 전이된 경우가 많아 수술적 효용이 크지 않다는 판단에 수술적 치료보단 표적항암제 투여치료를 한다. 그러나 말기 폐암 환자도 초기 암이 발생한 조직을 제거하는 원발암 수술로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연세암병원 폐암센터 종양내과 홍민희 교수와 흉부외과 박성용ㆍ박병조 교수 연구팀은 4기 폐암 환자를 포함해 표적항암제를 투여 중인 진행성 폐암환자에서 원발암에 대한 수술적 치료로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Cancer 최신호에 게재됐다.

4기 고형암의 경우 암세포가 장기에 많이 퍼져있거나 다른 장기로 전이돼 일반적으로 수술보다는 항암치료가 우선된다. 폐암 역시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4기면서 다른 장기에 전이된 암 개수가 적은 소수전이 개념이 도입되면서 수술과 방사선 치료도 사용되고 있다. 소수전이는 항암치료로 암이 잘 조절되고 있는 상태에서 국소 치료를 통해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는 의미다.

비소세포폐암의 경우 EGFR, ALK, ROS1 등 특정 유전자나 단백질 등이 암의 발생과 생존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표적항암제 개발로 생존율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표적항암제라도 약제 내성이 발생해 환자에게 같은 약을 지속적으로 투여하기가 힘들다. 결국 내성이 발생하지 않거나 내성이 발생하는 시간을 늘리는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내성은 주로 전이암보다 원발암에서 더 많이 발생하며 치료 역시 국소치료로 방사선 치료가 주로 시행된다.

연구팀은 2018년~2020년 연세암병원에서 표적항암제 치료를 받으며 원발암 수술을 받은 진행성 비소세포성폐암 환자 44명을 대상으로 수술의 안정성과 효과, 유용성을 평가했다. 44명 모두 3기 이상의 진행성 비소세포폐암으로 EGFR 변이 환자는 32명이었으며 ALK 변이가 11명, ROS1 변이 환자가 1명이었다. 이들은 폐 절제와 림프절 절제 수술을 받았다.

연구결과 수술과 관련된 사망은 없었으며 4명은 수술 후 병리조직에서 암 조직이 발견되지 않았다. 2년 추적관찰 결과 병이 더 이상 진행하지 않고 치료를 계속할 수 있었던 무진행생존율이 70.8% 전체생존율은 95.0%로 조사됐다. 이는 이전의 연구에 비해 월등히 좋은 결과다. 일반적으로 표적항암제만을 사용했을 때 2년 무진행생존율은 10~30% 전체생존율은 50~80% 수준이다.

일부 환자들에서는 수술 후 병리조직에 대한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NGS)을 통해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됐다. 수술로 얻은 조직에서 유전자 검사를 통해 기존 항암제에 내성이 있는 유전자 변이가 발견될 경우 항암제를 변경해 새로운 치료 계획을 세웠다.

박성용 교수는 "4기 암의 경우 항암제를 사용하며 내성이 생길 때까지 기다리지만 진행된 폐암에서의 수술적 치료는 표적항암제 등 약제의 개발과 발전된 수술기법을 통해 합병증을 줄이면서 약제 사용 기간을 증가시켜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홍민희 교수는 "수술을 통해 환자 치료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더 효과적인 치료방향을 제시할 수도 있다"며 "이번 연구결과에 따라 전향적 연구를 준비 중이다"고 설명했다.

홍민희 교수             박성용 교수        박병조 교수
                 홍민희 교수                                     박성용 교수                                    박병조 교수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