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 산하의 '공중보건 위기대응 의료제품 안전관리ㆍ공급위원회'가 있다. 전체 위원은 25명에 달한다.

이 가운데 여성 위원은 5명으로 20% 수준에 그쳤다. 식약처 산하 전체 14개 위원회 가운데 여성의원 비중이 꼴찌였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운영하는 중앙약사심의위원회 등 13개 위원회의 남녀 분포와 지역불균형 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약처가 '식품의약품안전처 소관 운영위원회 현황'을 분석한 결과, 여성위원 참여율은 13개 위원회 소속 539명 중 213명으로 평균 39.5%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전체 14개 위원회 가운데 위원회 구성이 안된 ‘의료기기위원회’는 제외됐다.<표 참조>

'공중보건 위기대응 의료제품 안전관리ㆍ공급위원회'에 이어 '식품ㆍ의약품분야 시험ㆍ검사발전심의위원회'가 전체 40명 중 여성위원은 27.5%(11명)로 두번째로 낮았다.

▲식품등표시광고자문위원회(37.5%) ▲축산물위생심의위원회(38.0%) ▲마약류안전관리심의위원회(38.0%) ▲식품위생심의위원회(39.0%) 등 4개 위원회는 30%대에 그쳤다.

▲건강기능식품위원회(40.8%) ▲식품ㆍ의약품안전기술위원회(40.0%) ▲유전자변형식품등안전성심사위원회(45.0%) ▲중앙약사심의위원회(43.4%) ▲체외진단의료기기전문가위원회(45.0%) 등 5개 위원회도 여성의원 비중이 절반에도 못미쳤다.

어린이식생활안전관리위원회와 의약품부작용심위원회 등 2개 위원회가 여성위원 비중 50%를 넘었다.

의원의 지역적 분포의 경우 비수도권위원이 수도권보다 낮았다. 비수도권 위원들은 전체 위원 539명의 41.9% 수준인 226명으로 절반이 채 안됐다.

식품ㆍ의약품안전기술위원회(56%) 건강기능식품위원회(50.7%) 유전자변형식품등안전성심사위원회(50.0%) 등 3개에 위원회만 비수도권 의원들이 많았다.

중앙약사심의위원회의 비수도권 출신 위원들은 49.4%로, 수도권과 비수도권 출신 위원들이 반반씩 분포됐다.

공중보건 위기대응 의료제품 안전관리ㆍ공급위원회는 비수도권 위원들의 분포가 8%로 가장 낮았다.

한편 위원수가 가장 많은 위원회는 식품위생심의위원회로 100명이며 중앙약사심의위원회가 99명으로 두 번째로 규모이다.

50명 이상인 위원회는 건강기능식품위원회(71명), 축산물위생심의위원회(50명)였으며 의약품부작용심위원회가 14명으로 가장 적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소관 운영위원회 현황[자료=식약처, 메디소비자뉴스 재정리]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