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여파로 최근 코로나19 진단시약과 마스크ㆍ소독제 등 외약외품과 건강기능식품 시장이 급격히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가 27일 발표한 '2021년 식품의약품통계연보'에 따르면 코로나19 사태가 시작된 2020년 마스크·손소독제·진단시약 등 코로나 방역물품 산업이 급성장했다.  

2020년 식·의약품 산업의 총 생산액은 139조 9500억원으로 전년(2019년, 130조 5600억원) 대비 약 7.2% 증가한 가운데, 의약품 생산약은 24조5700억원으로 전년(2019년, 22조3100억원)대비 10,1% 늘었다. <아래 도표 참조>

특히 의약외품의 성장이 돋보였다. 

마스크·손소독제가 포함된 의약외품 생산액, 코로나 진단시약 등 의료기기 생산액은 각각 3조 7100억원, 10조 1400억원으로 전년대비 120.9%, 39.2% 폭증했다. 식·의약품 산업 중 식품 생산액이 약 60%(84조 3300억원)를 차지하고 있다.

식·의약품 산업의 총 수출액은 36조 1200억원, 총 수입액은 47조 84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대비 총 수출액은 31.0%(2019년 총 수출액 27조 5800억원), 총 수입액은 2.0%(2019년 총 수입액 46조 9000억원) 증가했다.

코로나로 인한 경기침체 속에도 완제의약품과 체외진단 의료기기의 수출액이 각각 7조 9300억원(2019년 수출액 4조 800억원), 4조 2,000억원(2019년 수출액 5800억원)으로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화장품 분야 수출액도 8조 2877억원(2019년 수출액 7조 6086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달성했다. <그래프 참조>

◇코로나 경기 침체에도 완제의약품, 체외진단 의료기기 수출 크게 늘어

의약외품의 경우 코로나 예방 때문에 마스크와 손소독제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생산액은 전년대비 120.9%(3조 7100억원) 늘어났다. 국내 시장규모도 전년대비 145.8% 증가한 3조 5000억원을 기록했다.<그래프 참조>

특히 마스크 생산액은 2조 483억원으로 전년대비 약 9배(818.1%) 증가하여 최근 3년 간 1위 품목인 치약제를 밀어내고 생산액 1위(점유율 55.1%)를 차지했다. 

외용소독제(손소독제, 손소독티슈 등) 생산액은 3890억원으로 전년대비 약 10배(926.4%) 증가하여 2위(점유율 10.5%)를 차지했다.

의료기기의 경우 코로나 확산으로 진단시약 수요가 급증하면서 생산액은 전년 대비 39.2% 증가한 10조 1358억원을 기록했고, 진단시약의 해외수출에 힘입어 무역수지가 최초로 흑자로 전환됐다.

특히 체외진단 의료기기 생산액은 3조 3549억원으로 전년 대비 약 6.3배(553%) 증가했다. 

그중 코로나 진단시약(고위험성 감염체 유전자검사)의 생산액은 1조 4267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약 26.4배(2535%) 증가하여 최근 3년간 생산액 1위를 기록하던 치과용임플란트를 2위로 밀어냈다. <도표 참조>

면역력 증진 관심에 건기식 시장 급성장…  홍삼 비중 30% 넘어 

한편 마스크 착용과 사회적 거리두기 등으로 그간 의료기기의 생산·수입 분야에서 강세를 보여온 1회용 소프트콘택트렌즈 산업이 타격을 받았다.

생산액이 전년대비 18.7% 감소하면서 생산액 순위는 4위에서 6위로 주저앉았다. 수입액도 40.2% 감소하여 수입액 순위도 1위에서 6위로 떨어졌다.

코로나 여파로 면역력 증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건강기능식품이 크게 주목을 받고 있다. 매출액은 3조 3254억원으로 전년대비 12.7% 증가했다. 건기식 매출 1위는 면역력 증진에 좋다는 홍삼 품목이 올랐다. 2020년 홍삼의 시장 점유율은 31.9%(1조 609억원)로 압도적이었다.

또한 항산화·구강에서의 항균작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폴리스 추출물 품목과 활동량 감소로 인한 신체기능 보완(유익균 증식 및 배변활동 원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락토올리고당 품목의 매출액도 각각 114.9%, 125.7% 각각 증가했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