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소비자뉴스=연지안 기자] 의사와 약사 두 직능의 이해관계 사이에서 의료 소비자들은 여전히 뒷전이었다.

4일 오후 ‘의약분업제도의 평가 및 개선방안’을 주제로 진행된 국회 정책토론회<사진>에서는 의약분업 제도에 대한 보완책으로 선택 분업이나 직능 분업이 구체적으로 언급돼 관심을 끌었다.

의약분업을 실시하되 의사와 약사 간 업무가 중첩되는 부분이나 이해관계가 얽히는 부분을 선택분업이나 직능분업과 같은 방식을 통해 조율하자는 게 이날 토론의 핵심이었다.

논의는 이들 제도를 중심으로 두 이해관계자들 사이의 열띤 토론으로 이어졌다. 의사와 약사는 주로 서로 간의 직능에 대해 비판의 날을 세웠다. ‘신기에 가까운 처방’, ‘범죄’같은 극단적인 용어를 쓰며 상대를 자극했다.

그러나 이날 열띤 토론은 본질을 비켜갔다. 의약분업의 주인인 소비자,즉 국민은 보이지 않았던 것이다.

사실 의약분업은 의사와 약사 이해관계자를 위해 시행된 제도가 아니다. 이 제도의 당사자는 다름 아닌 의료 소비자들이다.

의약분업 10년을 기념해 열린 이날 토론회가 정작 소비자보다는 의약사란 직능간 이해당사자들의 밥그릇싸움으로 빠져든 것은 그래서 유감이다. 

어렵사리 열린 이날 토론회에서 의약분업의 당사자인 소비자들의 가려운데를 긁어줄 것은 무엇인가에 대한 진지한 성찰이나 개선점은 제시되지 않았다.

이상영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건강증진연구 실장이 "선택분업 도입 후 병원 밖 약국을 이용해야하는 등 소비자 측면에서는 사실상 편의 증진이 없다"고 지적한 게 고작이었다.

의약분업의 주연은 소비자이고,조연은 의약사다. 그러나 주연과 조연이 바뀐 게 작금의 의약분업 현실이다.

의약사들은 이날 조윤미 녹색소비자연대 본부장이 의약분업의 취지가 되레 의사와 약사라는 전문 직능이 시너지 효과를 내지 못하면서 퇴색했다는 따가운 지적을 다시한번 음미했으면 한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