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소비자뉴스=민경지 기자] 국부(國富) 창출의 일환으로 정부가 신약 연구개발(R&D) 투자를 하고 있지만, 사업간 차별성이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가과학기술위원회의 정부 R&D 현황에 따르면 식품의약품안전청을 제외하고 모든 부처가 후보물질 도출 및 최적화 단계에 투자하고 있다.

지식경제부와 보건복지부는 후보물질 개발 포함 비임상 등 신약개발 전(全)단계에, 교육과학기술부도 후보물질 도출을 비롯해 타깃 발굴 및 검증, 비임상에 투자한다.

이에 따라 각 정부 간 출혈 경쟁이 심하고 투자가 중복되고 있다고 지적되고 있다.

국과위는 최근 제약협회에서 열린 ‘바이오의약품 포럼’에서 전주기신약개발사업과 기존 일반사업이 거의 동일 단계 지원이고,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과 시스템통합적항암신약개발이 모두 글로벌 신약개발을 목표로 유사한 개발 단계라고 밝혔다.

쉽게 설명하면 신약후보물질이 산업화와 연계될 수 없어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얘기다.

그러나 개선방안은 그리 복잡하지 않다. 정부 간 역할 조정이 해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지경부와 복지부는 비임상 이후 단계에 역량을 쏟고, 교과부는 후보물질 개발에 집중하는 방식이다.

국과위 한 위원은 “기업의 R&D 역량, 현장 수요 등을 고려해 민간과 정부가 역할 체계를 장단기적 관점에서 정립해야 된다”며 “단기적으로는 R&D 전단계 지원, 즉 글로벌 제약사 육성 때까지, 장기적으로는 민간 주도의 신약개발로 전환 시 정부 역할은 점차 기초 및 응용연구와 함께 국가적 대응이 필요한 질환의 신약개발에 집중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