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소비자뉴스=민경지 기자] 국내에서도 신약개발의 조기 산업화가 강조되고 있다.

지식경제부는 국내 신약개발의 전과정을 범정부 차원에서 점검하기로 하고, 아울러 임상 등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신약개발 과정은 특허출원, 전임상, 임상, 신약 허가 신청 및 허가까지로 돼있다.

지경부에 따르면 글로벌 제약사들은 신약 허가까지 평균 5000억원 이상 투자하고, 신약개발이 성공하면 장기간 막대한 이익을 얻고 있다. 지경부는 이들이 신약 허가 이후 15년 넘는 기간 동안 투자금액의 6배 가량 순익을 벌어들이는 것으로 추산했다.

글로벌 업체들은 신약을 갖고 이른바 ‘저비용-고수익(하이리스크-하이리턴)’ 구조를 잘 파악하고 있는 것이다. 이들은 10~15년간 대규모 투자를 한 뒤, 특허기간이 만료되는 10~15년 사이에서 많은 이득을 챙기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세계 제약사 1위 화이자는 신약개발의 조기 산업화를 위해 연구개발(R&D) 재점검과 더불어 단계별 임상의 확인 시스템을 구축하고, 중개연구 및 마케팅 역량 등을 강화하고 있다.

화이자는 국내 제약사 1위 동아제약과 견줘 R&D 비용이 70배나 많고, 세계 10대 제약사는 국내 10대 제약사와 비교해도 R&D가 20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지경부 관계자는 “국내 제약사의 매출 대비 R&D에서도 글로벌 업체에 비해 크게 부족하다”며 “글로벌 성공 경험이 일천한 국내사로서는 기술 수출 및 라이선스를 적극적으로 진행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신약개발을 조기 산업화하려면 신약개발 초기 단계부터 인허가 정보 및 마케팅 역량을 키워야 하고, 임상 부문도 강화해 국제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며 “이를 위해 범정부적으로 임상 등 지원을 확대하고, 신약개발에서 비교적 글로벌 경쟁력이 있는 개량신약이나 천연물신약의 연구 활성화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제약사 한 개발 임원은 “국내사들이 글로벌 업체들과 신약개발에서 현격한 차이를 나타내는 것은 막대한 초기 비용 투자”라며 “신약개발을 조기 산업화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초기 임상 등 지원을 대폭 늘려주는 동시에 글로벌 규제 당국과의 끊임없는 소통으로 인허가 및 마케팅 정보를 제공해야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