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가 지난주 26일 언론 브리핑을 갖고 전 국민 60%에 해당하는 3000만명분의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을 확보할 수 있도록 관련 제약사들과 계약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1000만명분은 WHO(세계보건기구)와 GAVI(세계백신연합) 등이 공동으로 운영하는 코백스 퍼실리티를 통해 구입하고 나머지 2000만명분은 코로나 백신 개발 마지막 임상 단계에 있는 화이자, 모더나, 아스트라제네카 등 개별 제약사들과 계약을 추진 중이라고 했다.

복지부는 이러한 백신 도입 계약이 원활하게 진행될 경우 내년 2분기(4~6월)에는 국내 필요량 중 최소한의 물량을 확보해 접종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러한 당국의 계획이 외국에 비해 너무 늦었다고 지적하고 있다.

미국과 EU(유럽연합)가 개별 제약사들과 이미 각각 7억 도즈(1도즈는 1인당 1회 접종분으로 최소 2회접종 필요)씩 공급 계약을 체결해 물량을 확보했고 인도 5억 도즈, 일본 2억9000만 도즈, 영국 1억4500만 도즈, 인도네시아와 브라질이 각각 1억 도즈의 물량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진다. 이에 비해 한국은 이제야 계약 추진을 하기 위해 백신 외교전에 뛰어들었으니 늦어도 너무 늦었다.

미국의 경우 실제로 화이자의 임상시험이 끝나는 올해 연말 안에 백신을 공급받으면 즉시 예방접종을 시작하고 영국도 아스트라제네카의 백신 임상이 끝나는 올해 안에 영국 내 판매 승인을 할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그런데 한국은 이제야 물량 확보에 나선 것이다. 보건당국이 다국적제약사들의 백신 개발 정보에 어두워 손을 쓰지 못했다고 밖에 볼 수 없다. 국내 백신 개발 전문회사인 SK바이오사이언스가 지난 7월 아스트라제네카와 국내외 공급을 위한 협력 의정서를 체결했으나 내년 3월 이후에나 국내에 물량이 공급될 것으로 알려졌다.

백신 물량을 확보한다고 해도 누구부터 접종을 할 것인지 문제가 되고 있다. 코로나 감염 위험에 가장 많이 노출돼 있는 의료진과 65세 이상의 노약자 및 어린이를 1순위 접종자로 정하는 데는 누구도 이론이 없을 것이다. 그러나 2~3순위 결정은 사전에 많은 논의가 필요하다고 본다. 국내 코로나 백신 확보 예상 물량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 모두가 당국의 느림보 백신 외교 탓이다.

그런데도 이인영 통일부장관은 지난 18일 KBS 뉴스프로그램에 출연해 “(코로나 백신이) 좀 부족하더라도 북한과 함께 나누는 것이 진짜로 나누는 것”이라며 코로나 백신의 대북 지원을 제안했다. 정부가 백신 확보도 안됐는데 북한에 퍼줄 생각부터 한다는 비판이 그래서 나오는 것이다. 따라서 정부는 코로나 백신 물량을 확보한 뒤 누구부터 접종을 할 것인지 미리 순위를 투명하게 정해둬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