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코로나백신 허브’ 도약을 위해 지난 3일 ‘백신 허브화 TF’(팀장 권덕철 보건복지부장관)를 출범시킨데 이어 17일 2차회의를 갖는등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다. 제약계도 이에 맞춰 16일 공동으로 정책대안마련을 위한 포럼을 개최하는등 분주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글로벌 백신 허브화는 백신기술개발과 백신의 공급기지화를 이룩함으로써 국민건강을 지키고 세계 백신시장을 선도하자는 것이 목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글로벌 백신 허브화는 말로만 외친다고 해서 되는게 아니다. 현재 글로벌 백신 허브화를 위해 팔벗고 나선 나라만 해도 10여개국이나 된다고 한다. 서방 G7국가외에 3~4개국이 더 있다.

한국은 다행히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바이오의약품 생산능력 세계 1위자리를 지키고 있고 SK바이오사이언스의 백신공장 시설도 세계최고수준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외에도 한미ㆍGC녹십자등 한국 제약계의 백신생산능력은 미국에 이어 세계 2위를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한국의 생산능력에 미국의 기술과 원부자재를 결합할 수 있다면 백신생산의 세계적 기지를 구축할 수 있다는 구상이다.

제약계도 미국의 화이자나 모더나사가 갖고 있는 코로나백신 지식재산권을 돈을 내고 사용하거나 미국이 기술을 개방함으로써 국내 기술과 결합한다면 연내에 5000만~1억도즈(1도즈는 1회접종분) 분량의 백신 생산이 가능하다고 자신하고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국내 백신기술과 생산공장등을 한 덩어리로 묶을 국내 업체의 컨소시엄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 바이오제약계의 주장이다. 감염병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이는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국산백신의 개발도 촉진할수 있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현재 코로나 백신 1차접종자 수는 1400만명을 넘어서고 있다. 그러나 국산백신 개발은 아직 걸음마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국산백신이 없으면 아무리 국내에서 다국적 제약사의 백신을 생산해 세계에 공급한다고 해도 이들 다국적 제약사들의 계약조건에 끌려 다닐 수밖에 없다.

정부도 이들 국내 컨서시엄의 국산백신 개발과 생산능력제고를 위해 투자할수 있도록 각종 규제를 과감하게 걷어내는등 적극 지원해야 한다. 과거 신종플루 발생 시 반짝 지원에만 그쳐 백신개발에 실패했던 일을 되돌아봐야 한다. 최고의 방역은 백신개발이고 방역의 최종목표도 백신개발이라는 사실을 정부가 깊이 깨달아야 한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