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2017년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14.2%로 고령사회에 이미 진입한데 이어 오는 2025년에는 65세 이상 인구비중이 전체 인구의 20%가 되는 초고령사회를 맞을 것으로 예상된다.

사람은 나이가 들면 체내 지방량은 증가하고 수분량·근육량은 감소하는 등 신체 변화를 겪게 되며, 이에 따라 의약품의 흡수·분포·대사·배설 능력이 다양하게 변화하게 된다.

 또한 65세 이상 고령자의 경우 만성질환 등으로 여러 약물을 동시에 복용하는 경우가 많아 이상사례 발생 빈도도 증가할 수 있어 의약품 사용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보건복지부의 지난해 노인실태조사에 따르면 고령자 평균 1.9개의 만성질병을 보유하고 있다.

이에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와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원장 한순영)은 18일 어르신 환자들의 의약품 복용에 주의해야할 정보를 안내했다.

고령 환자들에게 부작용이 자주 발생하는 대표적인 다빈도 부작용 의약품은 ▲해열·진통·소염제 ▲항정신병제 ▲삼환계 항우울제 ▲장기 지속형 벤조다이아제핀 등이 있다.

해열·진통·소염제는 단기간 사용을

해열·진통·소염제는 두통, 관절염 등 통증에 사용하는 약물이며 대표적 성분으로 아스피린, 이부프로펜, 아세클로페낙 등이 있다.

부작용으로는 소화불량, 위장관 출혈같은 위장관계 이상반응, 신장 기능 악화, 혈압 상승, 체액저류에 의한 심부전 악화 등이 발생할 수 있어 가능하면 단기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치매환자의 행동장애에 먹는항정신병제,부작용 치료 어려워 예방 중요

항정신병제는 치매환자의 행동장애 등에 사용하는 약물로 주요 성분으로 할로페리돌, 아리피프라졸, 클로자핀 등이 있다.

부작용으로는 가만히 있지 못하는 정좌불안, 입 오물거림 등 운동이상증과 졸림, 어지러움 등이 나타날 수 있고 이 경우 치료가 어려울 수 있어 예방이 중요하다.

삼환계 항우울제는 기립성 저혈압과 졸림, 변비, 환각 나타날 수도

삼환계 항우울제는 대표적인 우울증 치료에 사용하는 약물로 주요 성분으로 아미트리프틸린, 아목사핀, 클로미프라민, 이미프라민, 노르트립틸린 등이 있다.

부작용으로는 갑자기 일어날 때 순간적으로 어지러움을 느끼는 기립성 저혈압과 졸림, 변비, 환각 증상 등이 나타날 수 있어 신중히 복용해야 한다. 특히 녹내장·불안정협심증·부정맥·전립선비대증 환자는 증상이 악화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불안증 사용 장기 지속형 벤조다이아제핀, '운동 실조 중상'으로 낙상 위험↑

장기 지속형 벤조다이아제핀은 심한 불안증 등의 치료에 사용하는 약물로 주요 성분으로 클로르디아제폭시드, 클로나제팜, 디아제팜, 플루니트라제팜 등이 있다.

부작용으로는 과도한 진정 작용과 운동 실조(균형상실로 운동불가)가 발생할 수 있어 자동차 사고, 낙상, 고관절 골절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식약처는 전국 병·의원과 약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의약품 처방·조제 지원시스템’의 ‘의약품 안전사용서비스(DUR)’로 고령 환자가 주의해야 하는 의약품 정보를 제공해 의료현장에서 의·약사들이 처방·조제 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어르신 의약품 안전사용 안내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