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유행 장기화로 전 국민의 피로도가 쌓여가는 가운데 코로나 확진자와 격리자를 대상으로 더 면밀한 정신 건강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코로나 방역을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단계를 오르내리며 22개월 넘게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른 경제활동과 일상생활 제약으로 우울감을 호소하는 국민이 늘고 있어 전 국민 정신건강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특히 코로나 확진자 정신건강이 크게 우려되고 있다.

국립중앙의료원 이소희ㆍ신형식, 서울대학교 병원 박혜윤ㆍ박완범, 서울의료원 이해우, 단국대학교병원 이정재, 충남대학교병원 김정란 연구팀이 메르스 완치자 148명 중 63명의 정신건강을 추적한 결과 생존한 완치자들 정신건강 문제가 장기화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메르스 생존자 63명 중 34명(54%)이 1년 후에도 한 가지 이상 정신 건강상 문제를 가지고 있었고 42.9%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27%가 우울증, 22.2%가 중등도 이상의 자살사고를 겪고 있었다. 생존자들은 감염에 대한 사회적 낙인을 높게 인지할 수록 감염 당시 불안도가 높을수록 PTSD 위험도가 높았다. 정신과적 병력이 있는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연구진은 감염의 심각도보다 환자가 심리ㆍ사회적 측면에서 감염증을 어떻게 인지하고 경험하는지가 정신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또 서울대병원 연구진이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코로나 완치자 10명 중 1명은 퇴원 후 1개월 이내에 우울증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등을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에 답한 완치자 절반가량이 치료 중 우울증을 앓았다고 답했으며 응답자 중 40%는 코로나에 걸렸다는 병력으로 발생할 사회적 차별이 걱정된다고 답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성주 의원(더불어민주당, 전주시병ㆍ사진)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 확진자이면서 우울증과 불안장애로 의료기관 진료를 받는 인원수가 증가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2월 764명이었던 우울증 수진자는 같은 해 5월 812명, 12월 905명으로 증가해 올해 4월 978명으로 기간 내 정점을 찍었다. 불안장애 수진자 역시 작년 2월 593명이었으나 올 1월~6월 매달 700명대를 기록했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고의적 자해 역시 꾸준히 발생했다. <표1참조>

정신과적 병력이 있는 사람도 있어 단순 인과관계로 해석하는 것은 어려우나 메르스 확진자 중 정신과적 병력이 있는 경우 PTSD 위험도, 우울증 위험도가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를 참고하면 정신과적 병력이 있는 확진자도 세심히 살펴야 한다는 지적이다.

현재 정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통합 심리지원 사업을 통해 대국민 정신건강 지원에 나서고 있다. 이 사업을 통해 코로나에 감염됐거나 감염 우려로 스트레스를 받고있는 전 국민을 상대로 전문가 상담을 지원하고 있다. 현재까지 157만여명이 심리지원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893건은 정신의료기관 진료 의뢰로 이뤄졌으며 비율은 격리자가 54.64% (488건), 확진자 27.69%(241건)를 기록하고 있다. 격리자와 확진자의 코로나로 인한 심리적 어려움이 극심한 것이다. <표2참조>

실례로 코로나 확진자와 격리자의 극단적 선택으로 추정되는 사건이 지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지난해 3월 인천에서 코로나 확진 판정을 받은 30대 여성 자살로 추정되는 사망사고가 있었으며 올해 9월까지 경기도에선 8명 코로나 격리자가 자살을 시도했다가 미수에 그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김성주 의원은 "현재 관계 당국은 코로나로 인한 자살 시도자 및 자살자 통계를 별도로 관리하지 않고 있어 코로나로 인한 자살 관련 횟수는 정확한 추산조차 어렵다"면서 "정부는 사회적 낙인 효과 등으로 인해 심각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확진자와 격리자 등 정신건강 관리 지원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전했다.

김 의원은 "코로나 확진자와 격리자의 심리지원을 재활서비스 차원으로 바라보고 조직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여러 연구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 확진자가 지역사회로 복귀한 후에도 정신건강의 어려움이 지속될 수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또 "국립정신건강센터에서 운영 중인 정신건강사례관리시스템에 지역사회 민간정신의료기관과 정신건강복지시설이 참여할 수 있도록 개방하고 정신건강복지센터를 중심으로 의료서비스 연계와 통합을 할 수 있도록 정책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